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책속의 한 줄 - 3_4] 요가난다 자서전(기리 발라)
[책속의 한 줄 - 5_3]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3
[책속의 한 줄 - 5_2]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2
[책속의 한 줄 - 5_1]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1
[多夕日誌 공부 - 9] 張橫渠의 西銘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6장 「응함」은 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5장 「응함」은 큼으로…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4장 「응함」은 가득함…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3장 「응함」은 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2장 「응함」은 중히 …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15401031_751015161719225_6752138510359780732_n.jpg  박현우  가림토한글
 
  삼황오제(三皇五帝)의 이름부름(呼稱)은 ? 2
  
   작성자 : 꼬레
작성일 : 2017-12-10     조회 : 449  


~ 이어서~ 

로 쓰게 되는데

이는 "()이르알/"에서 "."이 빠지게 되고

그냥 "()().()()"이 됩니다.

 

굳이 "밝은하늘"을 뜻하는 "()"은 표현되지 않고 잠재되어 있는 것이지요.

 

".잀알"이 대표소리로 "(하늘//)을 잇알 이"로 잇는 자를 이르는 말과 글입니다.

이 말글은 "아비 "와의 문자적 결별을 뜻하며 여기에서 "아버지"는 의미가 퇴색하고 단지

"(하늘//)잇을.잀을.이을"이 됩니다. “잀을.잇알.이을인 것이지요.

 

(..하늘)잇알 즉 '잇는이.잇는자'는 자기의 이름을 계승자에게 그대로 물려주나 또 후손들 중에 특출난 이들이 나와 새로운 성씨를 구성하게 되며 각기 자기의 이름을 잇알 에 붙여 구분하게 됩니다. 무엇으로 이름을 구분하였을까요?

하늘,.을 이은 이들의 이름이니 당연 오롯한 한알 해()를 그 이름으로 합니다.

옛날 西土(서토)뿐 아니라 동방(東方)에서도 태양은 하나가 아니라 열개의 태양이 매일매일 번갈아 떠 오르는 것으로 인식하여 그 태양에 이름을 하였으니 /-잇알 10개의 해를 번갈아 자신의 이름에 붙이게 됩니다.

 

甲乙兵丁戊己庚辛任癸

"잇알 " 뒤에 붙여 이름합니다.

 

又 口 는 오늘날 父丁이라 하나 우리말로 옛소리는 "잇곰/닔곰" 이요.

 

又 乙 은 오늘날 父乙이라 하나 우리말로 옛소리는 "잇하날/잀날" 입니다.

 

하늘날을을 소리하니 곧 새()의 습성이므로 곧 새이라 하지요. 여기서 뜻소리는 "할날"이며 동시 "해날"이지요.

 

"한알스리잀"이니 "수리하날.설하날"로 우리말 "수릿날 端午" "설날 旦日"에 남아 있습니다.

 

"서잀"이니 "세울"이라 ""이며

 

로 또 로 표기하니 "마리(하날)" "(하날)" "한알" "늬리(누리.나라)" . (늬르잀)의 씨말씨글이기도 하며

 

"돗날"이니 "돗해""닷섯 "의 씨말이요. 또한 "돗아난 해" 즉 땅의 해(太陽)란 뜻이요. "돗날"이니 돗아난 날()이니 "날갖을"이니 칼날잇을 이라 일체의 무긔를 뜻합니다.

이러한 연유로 (큰돗날잀)(/.돐날잀)이니 돗해(땅의 해)”(/맡할나라)은 그 임금(天子)의 이름을 (이읈.)이라고도 하지만 별칭으로 (돗해)라 이름불렀습니다.

 

낙빈기에 따르면

 

又 丁 父丁

우리말 "잇곰"을 쓴 五帝는 전욱 高揚(고양: 곳해)입니다. 반대로 이는 곰잀을이란 뜻으로도 무방하니 곰()은 우리옛말 .가마.고마하늘의 다른 이름이기 때문입니다. 하여 ~뒤에 무엇이 붙던 우리뜻으로는 잇곰(임금)”이라 대표적으로 읽어 무방합니다.

[낙빈기는 지금은 웬만한 금석학자들은 알고 있는 이란 글자가 초기형태가 임을 모르던 사람이었고 또 과 통용하며 때때로 과도 통용함을 몰랐으므로 그 형태에 따라 (구슬)로 해석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냥해석이 아니라 (불글)로 해석하여 하늘()으로 추정하였으니 그의 통찰력은 대단하다 할 것입니다. “는 우리말 마리.하날이며

는 우리말 ,하날이며 는 우리말 .하날입니다. 하여 우리에겐 마리,,은 같은 삼신말이며 또 곰 또한 한하늘의 이름임은 깨끗한 정신의 소유자라면 바로보고 바로 읽을 수 있습니다.

 

황제 軒轅헌원 (구를-/)父己

又 己 "잀알./긼덜을""잀알.나라" "잇알.기틀"이니 곧 "구를-/軒轅"은 여섯번째 태양 ",나라.긼틀() "를 이름으로 하였습니다.

 

(- 돗타올)임금은 父乙

又 乙".하날" "()"을 그 이름으로 하였습니다. 후손들은 이를 따라 자신들의 새로운 족호(族號 겨레이륾부륾)을 하였지요.

 

2. "잇곰(임금)"으로 대표되는 이름들은 어디서 왔을까요?

 

바로 중원의 초기 지배자들이 그 고향에서 들고 간 말들속에 있었습니다. 바로 고향 동방(東方: 새곳. 아시곳)에서 가지고 온 것이지요.

 

檀君(단군: .곳알 /밝곧알)이란 말도 있기 전에 (단군은 삼황오제의 끝에쯤 나온 말입니다) [의 쓰임은 흉노 묵특의 이름부름 택리고도-선우에서 알수 있듯 택리()고도(곧으 )로 우리말 곧을.곧알.굳알로 삼신한말로 _강할의 의미이며 禪于(선우)는 고어식 표현 單干의 와전된 표현으로 옳알_요즘 우리말 올롯할” “/을 말합니다.

흉노말의 후대 중국식 표현 택리고도선우는 우리말 단군옳칸 또는 단군옳한입니다. ]

 

桓因이 있었고

桓熊이 있었으니

桓因"/밝달- 잀알/잀할"이며

檀熊"-/밝달.(고마.가마)"입니다.

 

헌원은 有熊씨로 유웅국에서 나온 한 지파니 그는 (하나로잇을잇)()의 자식(:앗이..)이니 "-잇알有熊"겨레의 아이()며 앗이()이지요.

 

또 헌원의 앞선 시기 신농(神農 農것깔.긼틀) 또한 고시씨(高矢..옛형태 씨글 高午로 보면 우리말 "곳해날" 오늘날 높은하늘. 높이해뜰 )의 자손으로 이들 또한 밝달()子孫(앗알.새끼)입니다. 이들이 檀國(배달나라)의 제도로 중원을(당시 세상에서는 西土/西域)을 경영하여 主君(씨이읈.곬달)으로 다스렸으니 당연 우리말이 그들의 언어가 되며 이에 따라 호칭도 이루어진 것입니다.

 

이 말글은 어디서 연유한 것일까요. 그것은 바로 당시 동방 진짜 천자의 나라(/)에서의 이름부름에 연유합니다. 바로 桓因(밝달/발갈-잀알/잀할)입니다. “잇알,잇할과 같은 조음구조의 글자는 (). ()이니 환인(桓因)"밝달.잇알"에서 나온 것입니다.

은 오늘날 그대로 잇을또는 잇할_잇게할로 그대로 사용하는 글씨입니다. "(한알).잇을"이니 오늘날에도 "하나로 잇다. 기인하다"란 소리.뜻의 어근입니다."하날잇을"繼承(계승)하다는 뜻이지요.

 

중원의 이름 의 옛글

/

빐이을알.빛이르올.은 소릿글자로는 다른것이 없습니다. 우리가 밝해(光明. 桓旦)을 숭상하듯 중원의 자손들 또한 마찬가지였지요.

 

3. 세상이 변하듯 말도 변해갑니다.

 

같은 말도 오래 쓰면 식상해지고 쇠퇴하고 때론 폄하되기까지 합니다. 삼황오제로 대표되는 수백년의 시간동안 우리가 지금 중원이라 하는 당시의 변방인 西土(서토)에서는 동이의 자손들로 인해 새로운 문명이 싹트고 급기야 먼조상이며 자신들을 태동하게 해준 아시벌의 땅東方을 밀어낼 힘을 가지게 됩니다. 새로이 개척한 서토의 자원과 부를 가지고 이제는 동방을 밀어내고 자신들이 중원을 주장하게 되는 날이 옵니다.

 

고시(高矢: 곳해날)

복희 伏姬(불글긼틀꼿알가새나 또는 包犧: 뿔글.돗아날.)

신농(껏깔.긼틀)

공공(共工 : 이르받. 여르밭 -바치)

헌원(헌원: 구를칸,구를한 雲師(구를()벼슬달알)를 맡음

..... (톳타올) (:엇질) (:하날같을,곳클할올)

 

서토에 들어간 동이의 자손들은 그들만의 성(가새나돗아나올_모계중심의 혈연가족)을 이루고 또 그 내부에 씨(...끗달릴_부계중심의 혈연가족)를 나누며 중원을 개척합니다. 이들은 기본적으로 그들만의 혼인제도로서 누비혼을 이루고 한겨레내에서만 혼인을 하게 됩니다. 중원의 토착세력들을 왕가에서 배제하는 일종의 사회적 합의이며 시스템인 것이지요. 이러한 누비혼의 풍습은 지배계층이 피지배계층을 다스리는 매우 유용한 통치수단입니다. 혈연관계로 씨족을 묶어 사회적 부를 독점하며 천손사상을 퍼트려 피지배와 지배를 당연시하는 이데올로기가 되는 것이지요. 적어도 유방이라는 평민이 의식이 깨기 전까지 말이지요) 이들은 부.권력.문자.기술 등 모든것을 그들만의 가족집단내에서 독점합니다.이는 족내혼 풍습이 이루어지며 권력의 정점에 가까울수록 심해집니다.

신라나 중세유럽의 경우도 마찬가지며 오늘날 사회도 크게 다르지 않는 시스템이지요.다만 당시의 서토(중원)에서는 염제(炎帝

 
 
TOTAL 32
32. 한울(○).가를(十)
한울(○).가를(十). ㅌ크 (田)기틀:터:땅 껏갈(辰):곳깔 ㅜ : 하(ㅡ)닐(ㅣ) 乙 : 나.날.나을. ㅌ크: 긼들.  한얼.나리.긼들. 즉 신날(神申)의 의미. 冊 꿰(冊).잇(ㅣ)알(又) 꾀잇을. 꽬/맬/뚫을 갇.울(굀.곰: ㅌ크).잇.알 곰잀.곰잇을/잇곰 져( ㅣㅣ.箸)가(ㅏ)을(ㄹ) 져갈 少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28  |  Hit: 1872
31.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乙子(巳) 王曰尊文戊(戈)帝乙,宜才召大廷構乙. 翌日丙午□ 丁未煮己 唯王才杵□其賜貝 在四月 唯王四祀翌日.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높은 문무재상들은 마땅히 소읍조정의 구(획)에 있으라  익일 병오일에는 '하늘기릴.크올받읆(이받이제)'를 하고 정미일에 그(제물)을 삶고(煮제사를 하고) 오롯하온 왕께서 유□기에 계…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28  |  Hit: 2238
30. 고한글 가릶톬
고한글 가릶톬 丙午王賞(商)戌嗣貝二十朋 在(才)欄宗用作父癸寶속(粥)鼎 唯王豌欄太室 在九月 犬魚. 오늘날 글 해석) 병오(날)에 왕께서 술사(戌嗣)에게 돈 이백붕을 상 주시다. 欄의 종묘(宗廟)에 계시어 아비癸를 기릴 보배로운 죽그릀을 빗어지으시다. 크오신 왕께서 欄의 태실에서 豌제를 지내니 구월이라. 견어(犬魚) 우…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28  |  Hit: 2161
29. 動動歌(동동가)
動動歌(동동가) 德(덕)으란 곰뵈에 받잡고 福(복)으란 님뵈에 받잡고 德이여 福이라 하난 나ㅅ에로 오소이다.  아으 동동다리 정월 나릿물은 아으 어셔 녹져 하온데 누리 가온데 나란 몸ㅎ아 하ㄴ올로 녈셔(이르잇셔) 아으 동동다리 이윌 보름에 아으 높이 현(켠) 등ㅅ불 다호라 만인이 비취실 즛이(짓=것이)샷다. 아으 동…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2174
28.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편 ] 마하파미르와 天…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편 ] 마하파미르(맣.펴르뫼 昆崙)  天池(길릴하늘끝닳알못 從極地淵) 天毒(한알리스리일어난 이 = 氷夷) 우리의 얼(마음) 가온데 항상 긼들어 기리고 쫒고 따라온 마음의 고향이 이곳에도 있었답니다. ^^* 昆侖虛南所 有氾林方三百里 [곤륜허남소 유범림방삼백리] 從極之淵深三百…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2272
27.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편]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편] 우리 朝鮮(조선)인은 곧 "(한)아리(랑)스리(랑)이은이"니 "한얼이 스리어 난 이'니 곧 天子(천자)다. 오늘은 산해경에 나오는 氷夷(빙이) 즉 초기 중원에서는 麻姑(것깔할마님)으로 인식되다 나중에는 河伯(옳알아리 맣이 즉 黃河의 수호신)이었다가 중원에서는 퇴출되어 인신공양이나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852
26. 한 얼을 찾아서 -우리 문화읽기- 불알.부라리올.(卵)/싸올.싸울앏이(…
한 얼을 찾아서 -우리 문화읽기- 돗철문(불알이올.싸올앏이 文樣) 불알.부라리올.(卵) 싸올.싸울앏이(싸울아비.戰師) 뿔굴이(雙巳) 새발까막이(三足烏) 빗날긼틀(魚) 도철문.에 대한 연원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옛날에는 문양으로 글을 대신하며 더 많은 것을 포함하여 그 제작자의 얼을 드러낸 것이므로 당시 사회문화 특히 그…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775
25. 우리말 나들이 - 삼신한말- 폼/품 짓/잣..것(갓.겉.같)이. 꼴
우리말 나들이 - 삼신한말- 폼/품 짓/잣..것(갓.겉.같)이.  꼴 순수 우리말에 대한 이해 없이는 옛글을 읽어도 이해가 안 간답니다. 모습 狀(상)은 우리엿말 "즛이.짓이"를 씨말로 하여 "짌(犬).니엀(닛=片)" 이라 쓴 글자니 "지닔 狀(상)"입니다. 개(犬)는 "짌"는 놈이지요. 해서 이 글자는 기본 씨글이 "ㅈ + ㅅ"입니다.틀어져 썼지만요…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613
24. 한 얼을 찾아서 "텨러긼- 오늘날 투르크(匈奴)" 형제들의 기록.
한 얼을 찾아서  "텨러긼- 오늘날 투르크(匈奴)" 형제들의 기록. 산해경 해외남경(海外南經)편 첫머리에 투르크(匈)에 대한 기록이 나옵니다만 여지껏 그 누구도 이를 요상한 인물로만 해석하고 기록하였지 본래의 기록대로 읽지 않았답니다.  우리말소릸글인 이 글을 소리나는데로 읽으니 이제야 괴상한 이야기가 歷史(역사)로…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643
23. 산해경 해외남경 比翼鳥(비익조)
산해경 해외남경 比翼鳥(비익조) 5.比翼鳥在其東,其爲鳥青、赤,兩鳥比翼。一曰在南山東。 [비익조재기동, 기위조청,적 양조비익 일왈재남산동] 텨르긼새(새.투르크)가 그 동쪽에 있는데 그를 “새푸릀(터러긼),새불긄(터러긼)”이라 하고 그 둘은 "텨르귌(트르크)"이니 또 이르길 남산 동쪽에 있다고도 한다. 틀릸(달리잀)긼털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681
22. 산해경 海外南經 [삼묘국] 조선(새밝을빐날터)를 이르는 이름
산해경 海外南經 [삼묘국] 조선(새밝을빐날터)를 이르는 이름과 같다. 12. 三苗国在赤水東,其爲人相随。一曰三毛国[삼묘국재적수동, 기위인상수, 일왈삼모국] 。[세.뿔갈(풀.갈을/얼일.풀)나라(三苗国)]가 [새붉긄나리(赤水)] 동쪽에 있는데 그 사람들을 “세로.빐/텴.따를갈이”라고 하고 또 이르길 ‘세.삜/텴나라(三毛国)’라고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574
21. 용(龍)이 뜻하는 바는 무엇이었을까요?
용(龍)이 뜻하는 바는 무엇이었을까요? 엄청난 숫자의 이체자가 있고 또 시기별로 다양한 모습을 지님에도 우리말로 쓰여진 이 글자는 모두 용을 이름합니다. 龍 용 용(룡), 언덕 농(롱), 얼룩 망, 은총 총 용 이외에도 [구불(굴이)] > 빐틀비틀 → 빐탈.→ 언덕 [구불구불] → 색)얼룩달룩 → 얼룩 [하늘맣아올.하늘맣을].→ 한얼부륾…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1135
20. 鰕 : 새우 하
鰕 : 새우 하) 새우(蝦)는 갑골문에서는 정확히 새/세(屮)우(ㅜ) 빐닐긼틀이(魚) 로 "새우.물고기(魚)"라 썼지요. 또 달리 쓰길 S 서리 S사리.를 겹쳐 세울(새울) 魚 라 썼으니 우리말 소리에 정확합니다. 설문해자에서는 ㄱㄱ ㅑ 껈(것걸) 又 알 로 껏깔 즉 "곳깔 弁" 물고기(魚)로 썼지요. ㄱ ㅑ 즉 ㄱ과 ㅅ이 합쳐 ㅈ.이되어 "질"이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605
19. [울알짌읆]에 대하여
[울알짌읆]에 대하여獸父辛첨부 글자는 獸父辛(수부신)으로 썻지만 읽읆은 獸帝父(수제부)로 하여야 합니다.떼이들은 이 글의 참 뜻을 모르므로짐승(獸)아비. 또는 모르니깐 하는말로 聖父(성스른 아비)매올(辛)으로獸(聖)父 辛辛의 날에 돌아가신 짐승키우는 아비 정도로 이해하며 역사상 누구를 끌어다 쓸지 모르겠습니다.이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448
18. 天歹(천알) 즉 天骨(천골) 우리말 "하늘잀 것깔(벗긼)" "하늘잇을 뼈"
天歹(천알) 즉 天骨(천골) 우리말 "하늘잀 것깔(벗긼)" "하늘잇을 뼈" 媧(하늘. 벗낄.가새나)와 다른이름 麻姑(것깔.할마니)를  계승한 뼈중의 뼈(眞骨 진골)을 뜻하는 글자가 새겨진 흑피옥. 여기서 뻬 알(歹)은 "것깔.벗낄"의 우리소리로 "(살)벗낄(있는 것)"이라 뼈.를 뜻하며 "껏까질잀 즉 고꾸라져 즉 죽을"로 死의 씨글이 됩니…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452
17. "옳옰한알뉘리(圓隆天地)"에 나서 자라 기르며 죽어 하나로 돌아가…
세상에 나서 그 어떤것도 더할 것이 없다는 건 참 행복한 일입니다. "옳옰한알뉘리(圓隆天地)"에 나서 자라 기르며 죽어 하나로 돌아가지만 숟가락 얹어 한 술 뜨고 갈 뿐 이 옳옰한 한알뉘리에 무언가 더하고 가는 건 아무것도 없답니다. 이름을 날리고 무언가를 만들고 짓어 풍요로운 삶을 더하는 그 어떤이도 스스로 화려하게 치열…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430
16. 표훈천사에 이르길 처읆 세상에 밝지아니함조차 없던 때에 "어릶"이…
表訓天嗣 曰 大始 上下四方 曾未見暗黑 古往今來 只一光明矣.  自上界 却有三神 卽一上帝 主體則爲一神 非各有神也 三神 有引出萬物 統治全世界之無量智能  不見其形體... 표훈천사에 이르길 처읆 세상에 밝지아니함조차 없던 때에 "어릶"이 가고 "새있읆"이 오니 이를 "할발갈"이라 하니라. (우잀)하늘에 스스로이 계시…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433
15. 修養(수양)이란
修養(수양)하지 않은 자와는 道(도)를 논하지 말라. 修養(수양)이란 "엇진 빛일어 가릶(修)"을 "불리어 기륾(養)"이니 仁(人)어질다 함은  한얼의 성정이니 곧 베풂이요 한없는 마음이니 곧 막힘(亞)이 없어 악(惡)하지 않읆이요. 또 가륾(行즉 亞)이 없음이니 분별하지 않음이고 또 나와 너를 구분하지 아니하니 내사람 네사람을 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472
14. 없(업새) 無
없(업새) 無에 대하여 우리 옛글에서 없(업새)을 無(무)는 업(業)에 새(大=太=天)를 더한글자로 "業(업)+太(새)=업새 즉 없" 이 됩니다. 기본말글은 "없. 업새 無(무)"지만 다른 소릿글의 이체자를 보며 그 뜻하는 바가 더욱 명확해지지요. 2.帚一業(2) 로 無니 "빐올.할.없을(달리.아닐)" 로 "비롨함이 없을"이 또 無니 "비롨핢(太始)이 업(…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486
13. "달리있읆"을 뜻하는 글자 它(타)
우리글은 참으로 신기할 따름입니다. "달리있읆"을 뜻하는 글자 它(타)는 또한 "비롨함(衣 즉 初의 씨글)"인데 한 새로운(다른) 생명을 잉태하여 "새로낢(비롨함)"이 있기 위해서는 ㅂ- 밭 子 씨 가 있어야 함과 같이 갑골문 它(타)는 "다를.잀으올"이라 읽지만  "씨올.덜얼"이라고도 읽지요. 곧 "비롨함. 새로욺.새잀읆"입니다. 마…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522
12. 곳깔가새나 여와
여와(곳깔가새나)의 시대에 하늘이 무너져 홍수가 나고 온갖괴물이 나타나 난리가 났던 적이 있답니다. 여와는 하늘의 구멍을 오색돌(五色石)로 메웠다고도 하고 또 거북의 네 다리를 잘라 메웠다고도 합니다. 오늘 거북(龜)이 가지는 우리글에서 보이는 의미를 찾아봅니다. 龜는 굴이(巳)에 긼틀(羽)을 가진이로 "발아닐.긼들"이니…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10  |  Hit: 402
1 2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