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책속의 한 줄 - 3_4] 요가난다 자서전(기리 발라)
[책속의 한 줄 - 5_3]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3
[책속의 한 줄 - 5_2]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2
[책속의 한 줄 - 5_1]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1
[多夕日誌 공부 - 9] 張橫渠의 西銘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6장 「응함」은 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5장 「응함」은 큼으로…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4장 「응함」은 가득함…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3장 「응함」은 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2장 「응함」은 중히 …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15401031_751015161719225_6752138510359780732_n.jpg  박현우  가림토한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편 ] 마하파미르와 天..
  
   작성자 : 배달문화원
작성일 : 2019-12-10     조회 : 2,272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편 ]
마하파미르(맣.펴르뫼 昆崙) 
天池(길릴하늘끝닳알못 從極地淵)
天毒(한알리스리일어난 이 = 氷夷)

우리의 얼(마음) 가온데 항상 긼들어 기리고 쫒고 따라온 마음의 고향이 이곳에도 있었답니다. ^^*
昆侖虛南所 有氾林方三百里
[곤륜허남소 유범림방삼백리]
從極之淵深三百仞 維氷夷恒都焉 氷夷人面 承兩龍 一曰忠極之淵
[종극지연심삼백인 유빙이항도언, 빙이인면 승양룡 일왈충극지연]

[오늘날 해석]
마하파미르(崑崙)텅빈곳 남쪽에 넓은 숲 삼백리가 있는데 
"길릴(=따를/쫒올)하늘끝닳을 못"이 있으니 깊이가 삼백길(질)이라.
어질기가 가이없는 "(한)아리스리얼 낳은 한이(氷夷)"이 항상 도읍(거처)하는 곳이라.
"(한)아리스리일 낳온 한이"는 어진얼을 갖았고 두마리 용(맣구리.구려의 두왕)을 다스리니라. 
또 하나같이 이르길 (이 못의 이륾을) "얼가온데긼들 (즉 기리고 쫒읆) 
하늘끝닿을 못"이라 하더라.
[소릿글 해석]
맗(/몴).펴르뫼.텴할잀올(곳).불긄(녘).
(하나르)있.내늘알.썹(/숲)곳.삼백리.
쫏올.한알갌달ㅎ올잀.이를.내리몰(덜)잀.물긼블.삼백.질.
실(엇질)가잀알.얼알스리나리.할이(/샐이.클이).
늘갌올.낮텰빗탈.잀알잀고.
얼알스리나리.한이.엀잀.얼갌을두를.
꾸불을잀.둘잀.맣알구리. 
하나르.이를올.얼덜올갌온.한알갌닳알올잀.이를.나리몰잀.

1. 곤륜뫼(昆崙山)은 말그대로 "맡펼"산입니다.
昆은 옛소릿글로는 맔,몴 또는 맗.몷.이니
으뜸이란 뜻으로 사용하여 옛글 맛이.몯이(兄)과
맛이.몯이(伯)과 같은 뜻으로 사용하여 그 토시또한
ㅁ (마.매.모.무)
ㅅ 또는 ㅅ ㅅ(잇을.있을)
가 기본 토시입니다.
또 · 이 ㅁ 안에 덜어있더 "안"에 덜어 있을을 의미하니 "모얼(안에. 덜얼)잇을"이니 모두.다.함께의 뜻으로 모덜잀(皆)와 모두모잀(僉) 모잀모잀(모둘잀 衆)과도 같은 씨글 같은 소릿글을 이룹니다.
엊그제 포스팅 한 글에서 보았듯 마고(麻姑.것깔할마님)의 다른 이름인 列姑(열고.것깔잀.할마님) 즉 "맣알 射"를 의미하기도 하는 글자가 "맣(맛.맡)昆"입니다.
지상의 으뜸(웃없듬)이요. 맣.이니 하늘맣닿읆이니 하늘처럼 놉고 하늘맡은이요. 하늘가이없읆이며 곧 처읆이니 한얼들엇잇을.이니 형.이기도 하지요.
곧 텴(첤)이니 텬(天)읆이요. 처읆난이니 텬굴이(텡구리)이기도 합니다.

2. 崙은 곧 侖륜인데
侖은 펴다. 둥글다.이지요.
우릿소리로는
ㅡ 하늘 
ㅅ 갌(가잀)
ㅣㅣ 이알
ㅣ二 ㅣ二ㅣ 느를 갌할
이니 여기엔 곳(바르.잀잀/잇지 今)과
같을 同이 두개가 들어가며
ㅣㅣ
ㅇㅇ
ㅣㅣ 이알이을. 이 들어갑니다.
하여 기본 소릿값은
"갌할. 이알.느를갌 할"이니
"가이알 할. 이알느를갌할"이니
"가잇고잇어 할될. (둘)이알느를갌(늘굻.늘불.넓을).할될"이니
"가이없이 크고 넓혀갈고 펼할"이니
곧 "펼 侖"이니 이으고 이어 넓힐..이란 뜻이요.
또 읽되
"할가잀을. 이알늘을갌.할(한알)"이니
한없이가잇어 이어넓혀 끝에 하나될.이니
곧 펴고펴지만 마침내 하나라 하니 곧 둥글(圓)을 이름합니디.
마치 우리말 "한 ㅡ"이
모든것의 시작(할텨옮)이며 동시에
마침(갌이없 할)인것과 똑 같은 이치의 글이 바로 이 侖(륜)이란 글자이지요.
여기에 뫼(山)이 붙었으니
崙(륜)은 "펴르(펼)뫼"요 "한뫼'니
곧 처읆뫼.요. 또 끝내하나될 뫼.니 곧 인간이 난첫뫼요. 마침내 죽어(껕갈.끝갈.꺽어져갈)갈 뫼입니다.
하여 崙은 한이들이 마침내 돌아갈 곳이니 사자(死者)들의 고향이요. 신들의 고향이며 살 곳이며
특히 죽음을 관장하는 서방신 서왕모(西王母)가 주재하는 산인 것입니다.
侖은 또 
今곳
冊 깔.이니 
긋깔.이라 만물의 시작(한것이 가르고갈라 이루어진)으로서 곳깔.이요 동시에 이울하나(울타리)니 마침내(끝갈.로서 곳깔)산인 것이지요.
昆崙은 오늘날 전해진 서방소리론 "마하.파미르"요
오늘날 우릿소리론 "맣.펼산"이니 "맣곬깔산"이요
마고(麻姑)의 산입니디.
우리 마음과 몸의 고향입니다.
2. 종극지연 즉 충극지연은 천지의 이름
3. 빙이는 천독의 다른말이며 마고의 다른이름인 그 변형인
빙이..그리고 하백으로 전승되다..고구려 화백과 유화부인.. 용왕신 .이무기..등으로 연결되는 용신의 시초
....
... 글자 해제.
昆 崑 곤)
01.jpg
[모얼.있.을] [모잀을][한올덜얼잀을] 
→ 6. 같이, 함께 8. 많다, 잡다하다(雜多--) 9. 같다 
a. 뒤섞이다, 뒤얽히다(=渾, 混) (혼) d. 덩어리 (혼 
[맔.몴] 1. 맏, 형(=晜) 
[해.안잀(긼들.덜엀)잀] 4. 산(山)의 이름(=崑) 
[해올잇을] > 量(량)씨글이면서 동시에 [발.안잀.잇을] > 벌래 3. 벌레(=蜫) 
곤.곤이[밝을(해)긼들잀] [빐날긼들잀을..따를잀] 5. 종족(種族)의 이름 
[달릴.달릴.한이] [따를한이] 7. 뒤, 다음, 나중
2. 자손(子孫), 후예 
[달릴달릴.올] [내.달리올] b. 넓다 (혼) c. 광대하다(廣大--) (혼)
侖. 崙 륜)
02.jpg

[긋.이울.갏알] [긋갌ㅎ이울] [이.울.잀을.것] > 이어있는것 
[이.알.늘을갌] > 이을늘ㅎ굿(이어늘쿬) > 이어펼 > 펼.(생각을)펴다. 
[긋.이을.느을갌] > 한없이 펴갈 > 펴르.뫼(山) = 파르미르 
= 긄까를(나닐)일알갌할 = 끐갏아이알(끝같이이알)것 > 둥글(것)
“이을”것인데 “갌하(같)이” 즉 하나로 이울 것이니 “둥글”이다. 곧 “한.圓隆”이며 
동시에 “끗가를(가르고가를).잀알.하나”
[울.타리]란 한알이울.다르한이.란 뜻
[이.얼.늘읋갌] 1. 생각하다 2. 펴다 3. 조리(條理)를 세우다 7. 조리(條理), 차례(次例) 
4. 반성하다(反省--) 
5. 빠지다, 몰락하다 
6. 둥글다
>> 피리 籥 풀(플)잀. 불읈불읈(필이) 같은 씨글읾.
崙 곤륜 륜은 “펴르.뫼” 즉 “파ㄹ미르”
天毒의 우리소릿말 
"(한)아리.쓰릴.열알맺알(/갖을)날"로
氷 얼일(/얼알)스리내릿(물)과 같은 조음구조의 씨말
兩龍은 구려의 두축인 戎(호족)과 夷(곰족)로 보입니다. 아직 전문을 해석치 않아 확실하진 않지만.
 
 
TOTAL 32
게시물이 없습니다.
1 2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