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
[옛글 공부 - 11] 중용 :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aljago_20110527_01.jpg 치화경治化經 인간삼백육십육사
 
  인간366사 제7훈 갚음 _ 제5장 갚음은 큼으로 받는 것이니라.
  
   작성자 : 배달문화원
작성일 : 2021-02-07     조회 : 932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제7훈 「갚음」에 대한 말씀 / 第七訓 報(보)

단군 한배검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갚음」은 하느님께서 악한 사람에게 재앙으로써 갚고 
착한 사람에게 복으로써 갚는 것이니 
여섯 가지 계층과 설흔 가지 급수가 있느니라.

第七訓 報ㆍ보
報者 天 報惡人以禍 報善人以福 有六階三十及.
보자 천 보악인이화 보선인이복 유육계삼십급.

제5장 「갚음」은 큼으로 받는 것이니라.
큼이란 한 번 하여 크게 악을 짓는 것이니 
악을 작게 짓는 사람은 어리석어서 처리함이 같지 아니하여 
혹 스스로 깨닫기 어려우나 악을 크게 짓는 사람은 지혜로와서 
한때 일을 행함에 그 죄가 신명과 사람을 꿰뚫으니 가히 그 재앙을 받을 것이니라.
第五章 大ㆍ대
大 一爲而做大惡也 做小惡者 愚也 處否似 或難自覺 做大惡者 智也 一 
대 일위이주대악야 주소악자 우야 처부사 혹난자각 주대악자 지야 일
時行事 罪貫神人 可領其禍.
시행사 죄관신인 가령기화.


제1절 죄를 정하여 더하지 말지어다.
경계하고 죄를 정하여 고치지 못하면 아니 되느니라. 
첫 번째 악은 징계로 다스리고 두 번째 악은 죄를 정하여 다스리나 
고칠 줄을 모르고 오히려 종신토록 악을 지으면, 
악에 미친 것이니 가히 그 재앙을 받을 것이니라.
第一節 勘尙ㆍ감상
勘尙者 懲勘而不改也 一惡 經懲 再惡 經勘 猶不知改 終身做惡 狂惡也 可領其禍. 
감상자 징감이불개야 일악 경징 재악 경감 유부지개 종신주악 광악야 가령기화.


제2절 거리낌 없어 하지 말지어다.
악을 짓고도 거리낌이 없으면 아니 되느니라. 
악을 말하되 남이 말하여 깨뜨릴까 두려워하며 악에 처하되 
남이 알아차릴까 두려워하여 스스로 악을 숨기자고 하느니라. 
이미 지은 악에 참으로 마음에 두려워하거나 겁냄이 없고 
앞으로 지을 악에 참으로 마음에 거리낌이 없으면 완악한 악이니 
가히 그 재앙을 받을 것이니라.
第二節 無憚ㆍ무탄
無憚者 做惡而無忌憚也 說惡而怕人道破 處惡而畏人知覺 自謂隱惡 旣裨
무탄자 주악이무기탄야 설악이파인도파 처악이외인지각 자위은악 기비
惡 無眞心畏怯 將營惡 無眞心忌憚 頑惡也 可領其禍.
악 무진심외겁 장영악 무진심기탄 완악야 가령기화.


제3절 갑자기 험하지 말지어다.
평소에 착하다가 갑자기 험한 악을 지으면 아니 되느니라. 
온순하면서 악을 짓는 사람은 없으며 착하면서 악을 짓는 사람 또한 없느니라. 
그 마음의 근원이 온순하지 못하고 성품의 근원이 착하지 못하여 
갑자기 험한 악을 행하는 것은 악을 감추었던 것이니 
가히 그 재앙을 받을 것이니라.
第三節 驟峻ㆍ취준 
驟峻者 平居 善良 驟爲峻惡也 良而做惡者 無 善而做惡者 亦無 其原心 
취준자 평거 선량 취위준악야 양이주악자 무 선이주악자 역무 기원심
不良 原性 不善 輒行峻惡 藏惡也 可領其禍.
불량 원성 불선 첩행준악 장악야 가령기화.


제4절 겉만 착하지 말지어다.
겉은 착하면서 속은 악하면 아니 되느니라. 
말은 바르나 행실이 합당하지 못하고 행실은 합당하나 
일은 미덥지 못한 것은 눈 쌓인 밑의 함정에 악의 태아가 가득한 것 같은 어두운 악이니 
가히 그 재앙을 받을 것이니라.
第四節 外善ㆍ외선
外善者 外善而內惡也 言正而行不合 行合而事不孚 雪下陷穽 惡胎産滿盲惡也 可領其禍.
외선자 외선이내악야 언정이행불합 행합이사불부 설하함정 악태산만맹악야 가령기화.

자료 : 배달문화연구원 "배달전서"


 baedal_mark.jpg
배달문화원은 함께하는 홍익의 장으로서
한민족 정신문화 발전을 지향합니다.
 
 
TOTAL 71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에 대하여...(2)
⑶ 환단고기 범례(凡例)" 一. 고기(古記)의 인용은 일연(一然)씨의 유사(遺事=삼국유사)에서 시작하였으나 고기를 얻어 볼 수 없으므로 삼성기, 단군세기, 북부여기, 태백일사를 합하여하나의 책으로 만들고 이름을 환단고기(桓檀古記)라 하였다.또 〈천부경〉과 〈삼일신고〉 두 개 글의 전문이 다 들어 있으니, 실로 낭가의대학이나 중…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08-07  |  Hit: 2998
바른 이름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에 대하여...(1)
바른 이름(正名) 인간삼백육십육사(人間三百六十六事)최 동 원 ( 천부보전 대표 천부경강전 저자 ) Ⅰ. 서 론 천부경(天符經)을 시원(始源)으로 하는 환인족(桓人族)의 역사에서 우리 겨레는 숭고한 경전의 가르침을 통하여 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워 왔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단군조선국의 역사에 대하여 왜곡이 심한 것을 알았…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08-07  |  Hit: 3104
71.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2장 '재앙'은 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二章 奪(탈) / 제2장 '재앙'은 빼앗음으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滅産(멸산)ㆍ제1절 산업을 망하게 하지 말지어다. 第二節 易祀(역사)ㆍ제2절 제사를 바꿔 놓지 말지어다.  第三節 擄金(노금)ㆍ제3절 돈을 노략질하…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9  |  Hit: 37
70.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 제1장 '재앙'은 속…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五訓 禍(화)  / 제5훈 '재앙'에 대한 말씀    第一章 欺(기) / 제1장 '재앙'은 속이므로 받는 것이니라. 第一節 匿心(익심)ㆍ제1절 마음을 감추지 말지어다. 第二節 慢天(만천)ㆍ제2절 하느님께 방종하지 말지어다. 第三節 信獨(신독)ㆍ제3절 홀로 믿지 말지어다. 第四…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8  |  Hit: 69
69.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4장 '구제'는 지…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四章 智(지) / 제4장 '구제'는 지혜로써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設備(설비)ㆍ제1절 베풀고 준비할 지어다. 第二節 禁癖(금벽)ㆍ제2절 나쁜 버릇을 금할 지어다. 第三節 要儉(요검)ㆍ제3절 검소해야 할 지어다. 第四節 精食(정…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7  |  Hit: 76
68.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3장 '구제'는 순…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三章 序(서) / 제3장 '구제'는 순서에 맞게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先遠(선원)ㆍ제1절 먼데를 먼저 할지어다. 第二節 首濱(수빈)ㆍ제2절 제일 위급한 것부터 할지어다. 第三節 輕重(경중)ㆍ제3절 가볍고 무거운 것이 있을지어…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20  |  Hit: 126
67.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2장 '구제'는 땅…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二章 地(지) / 제2장 '구제'는 땅에 맞게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撫柔(무유)ㆍ제1절 만져서 부드럽게 할지어다. 第二節 解剛(해강)ㆍ제2절 굳은 것을 풀지어다. 第三節 肥甘(비감)ㆍ제3절 기름지고 달게 할지어다. 第四節 燥濕(…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15  |  Hit: 177
66.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 제1장 구제는 때에 맞게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四訓 濟(제)  / 제4훈 「구제」에 대한 말씀   第一章 時(시) / 제1장 '구제'는 때에 맞게 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農災(농재)ㆍ제1절 농사에 재앙을 막을지어다. 第二節 凉怪(양괴)ㆍ제2절 써늘하고 괴이한 것을 막을지어다. 第三節 熱染(열염)ㆍ제3절 더위 먹는 것을 막을지어다…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8  |  Hit: 213
65.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6장 사랑은 기다리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六章 待(대) / 제6장 사랑은 기다리는 것이니라. 第一節 未形(미형)ㆍ제1절 모습이 아닐지어다. 第二節 生芽(생아)ㆍ제2절 싹이 나야 할지어다. 第三節 寬遂(관수)ㆍ제3절 너그럽게 이룩할지어다. 第四節 穩養(온양)ㆍ제4절 편하게 기를…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6  |  Hit: 280
64.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5장 사랑은 가르치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五章 敎(교) / 제5장 사랑은 가르치는 것이니라. 第一節 顧賦(고부)ㆍ제1절 타고난 바를 돌아볼지어다. 第二節 養性(양성)ㆍ제2절 성품을 기를지어다. 第三節 修身(수신)ㆍ제3절 몸을 닦을 지어다. 第四節 湊倫(주륜)ㆍ제4절 윤리에 합할…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3  |  Hit: 311
63.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4장 사랑은 기르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四章 育(육) / 제4장 사랑은 기르는 것이니라. 第一節 導業(도업)ㆍ제1절 생업을 인도할지어다. 第二節 保産(보산)ㆍ제2절 산업을 보전할지어다. 第三節 奬勤(장근)ㆍ제3절 부지런함을 권할지어다. 第四節 警墮(경타)ㆍ제4절 뒤떨어짐을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4-02  |  Hit: 299
62.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3장 사랑은 베푸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三章 施(시) / 제3장 사랑은 베푸는 것이니라. 第一節 原喜(원희)ㆍ제1절 기쁨의 근원일지어다. 第二節 認懇(인간)ㆍ제2절 알아서 정성껏 할지어다. 第三節 矜發(긍발)ㆍ제3절 불쌍히 여길지어다. 第四節 公頒(공반)ㆍ제4절 공평하게 나눌지…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31  |  Hit: 273
61.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2장 사랑은 용납하는 것…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二章 容(용) / 제2장 사랑은 용납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固然(고연)ㆍ제1절 자연히 굳을 지어다. 第二節 情外(정외)ㆍ제2절 진정이 아닐지어다. 第三節 免故(면고)ㆍ제3절 일부러함을 피할지어다. 第四節 全昧(전매)ㆍ제4절 어두움에서 벗어…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27  |  Hit: 296
60.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 제1장 사랑은 용서하는 …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三訓 愛(애)  / 제3훈 「사랑」에 대한 말씀  第一章 恕(서) / 제1장 사랑은 용서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幼我(유아)ㆍ제1절 내 몸같이 할지어다. 第二節 似是(사시)ㆍ제2절 옳은 것같이 할지어다. 第三節 旣誤(기오)ㆍ제3절 이미 그릇될 수도 있을지어다. 第四節 將失(장실)ㆍ제4절 문득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18  |  Hit: 230
59.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5장 믿음은 도는 것이…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五章 循(순) / 제5장 믿음은 도는 것이니라. 第一節 四時(사시)ㆍ제1절 네 계절이 있을지어다. 第二節 日月(일월)ㆍ제2절 해와 달이 있을지어다. 第三節 德望(덕망)ㆍ제3절 덕을 우러러볼지어다. 第四節 無極(무극)ㆍ제4절 끝이 없을지어다. ___ 우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10  |  Hit: 264
58.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4장 믿음은 열녀이니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四章 烈(열) / 제4장 믿음은 열녀이니라. 第一節 賓遇(빈우)ㆍ제1절 손님 대하듯 할지어다. 第二節 育親(육친)ㆍ제2절 어버이를 봉양할지어다. 第三節 嗣孤(사고)ㆍ제3절 대를 잇게 할지어다. 第四節 固貞(고정)ㆍ제4절 정조를 굳게 할지어다. 第…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3-07  |  Hit: 276
57.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3장 믿음은 충성이니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三章 忠(충) / 제3장 믿음은 충성이니라. 第一節 佩政(패정)ㆍ제1절 정치에 마음둘지어다. 第二節 擔重(담중)ㆍ제2절 무거운 것을 맡을지어다. 第三節 榮名(영명)ㆍ제3절 명령을 빛낼지어다. 第四節 安民(안민)ㆍ제4절 백성을 편안하게 할지어다.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2-19  |  Hit: 327
56.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2장 믿음은 약속이니라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二章 約(약) / 제2장 믿음은 약속이니라. 第一節 踐實(천실)ㆍ제1절 실제로 행할지어다. 第二節 知中(지중)ㆍ제2절 알맞게 알아야 할지어다. 第三節 續斷(속단)ㆍ제3절 끊어짐을 이을지어다. 第四節 排忙(배망)ㆍ제4절 바쁨을 물리칠지어다. 第五節 重…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2-12  |  Hit: 342
55.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 제1장 믿음은 올바름이니…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二訓 信(신) / 제2훈 「믿음」에 대한 말씀  第一章 義(의) / 제1장 믿음은 올바름이니라. 第一節 正直(정직)ㆍ제1절 바르고 곧을지어다. 第二節 公廉(공렴)ㆍ제2절 치우치지 않고 깨끗할지어다. 第三節 惜節(석절)ㆍ제3절 절개를 소중히 여길지어다. 第四節 不貳(불이)ㆍ제4절 둘이 아닐지어다. 第五…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2-03  |  Hit: 405
54.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 제6장 정성은 지극히 효…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一訓  誠(성)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六章  大孝(대효)  제6장 「정성」은 지극히 효도하는 것이니라. 第一節 安忠(안충)ㆍ제1절 마음을 편안하게 할지어다. 第二節 鎖憂(쇄우)ㆍ제2절 근심을 막을지어다. 第三節 順志(순지)ㆍ제3절 뜻을 따를지어다. 第四節 養體(양체)ㆍ제4절 몸을…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5-01-09  |  Hit: 619
53.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 제5장 정성은 지극히 느…
인간366사(참전계경) 第一訓 誠(성) / 제1훈 「정성」에 대한 말씀 第五章 至感(지감) 제5장 「정성」은 지극히 느끼는 것이니라. 第一節 順天(순천)ㆍ제1절 하느님을 따를지어다. 第二節 應天(응천)ㆍ제2절 하느님께 응할지어다. 第三節 聽天(청천)ㆍ제3절 하느님께 들을지어다. 第四節 樂天(낙천)ㆍ제4절 하느님을 즐거워할…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24-12-19  |  Hit: 610
1 2 3 4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