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돌아보기 - 11] 창세기 2장 4절, 두 개의 창조이…
[동영상 - 1] 인간은 동물로 재생(再生)하지 않는…
[책속의 한 줄 - 7] 장일순 평전, 무위당의 아름…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3)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인간366사(참전계경) | 제7훈 '갚음'에 대…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kur.jpg 김응렬  생각없이 읽는 철학
 
  [돌아보기 - 11] 창세기 2장 4절, 두 개의 창조이야기
  
   작성자 : 김응렬
작성일 : 2025-09-05     조회 : 39  


여호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때에 천지의 창조된 대략이 이러하니라

(개역한글판 성경전서, 1979, 대한성서공회)

 

하늘과 땅을 지어내신 순서는 위와 같았다.

야훼 하느님께서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때였다.

And that is how the universe was created.

When the LORD God made the universe,...

(공동번역성서, 가톨릭용, 2002, 대한성서공회)

 

אֵלֶּה תּוֹלְדָוֹת הַשָּׁמַיִם וְהָאָרֶץ בְּהִבֵּרְאָם בְּיוֹם עֲשָׂוֹת יְהוָה אֱלֹהִים אֶרֶץ וְשָׁמָיִם:

(BIBLIA HEBRAICA STUTTGARTENSIA, DEUTSCHE BIBELSTIFTUNG STUTTGART)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히브리 성서의 창세기에는 두 가지의 창조설화가 기록되어 있습니다. 창세기 1장부터 2장 4절 전반부까지가 한 가지이고, 2장 4절 후반부터는 또 다른 창조이야기가 서술됩니다.

 

성서 편집자들은 서로 다른 경로로 전승된 이 두 이야기 중 어느 한쪽만 남기지 않고 모두 보존하는 길을 선택했습니다. 그 결과 두 전승이 4절 안에 나란히 이어 붙여져 오늘날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창세기 1장부터 2장 4절의 전반부에 기록된 첫번째 설화에서 묘사한 창조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날 : 빛과 어둠, 낮과 밤

이튿날 : 하늘

사흗날 : 땅, 바다, 풀, 과일나무

나흗날 : 해, 달, 별들

닷샛날 : 물고기, 새들

엿샛날 : 집짐승, 길짐승, 들짐승, 남자와 여자

이렛날 : 쉼

 

이에 반해 2장 4절 후반부부터 2장 25절까지에 기록된 두번째 설화에서는, 아무 것도 없는 땅위에 진흙으로 사람을 빚어 만들고 에덴동산에 살게 했으며, 이어서 들짐승과 공중의 새를 진흙으로 만들고, 아담의 갈빗대를 하나 뽑아 여자를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이처럼 두 이야기는 전개되는 분위기나 순서, 내용이 전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통상 성서비평학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창세기 1장부터 2장 4절의 전반부까지는 P문서라 하고, 2장 4절의 후반부부터 4장까지는 J문서라 합니다.

 

J문서의 작성 시기는 대략 기원전 10세기 전후, P문서는 기원전 6세기 후반 포로기 무렵으로 보는데, 시기적으로 야훼(J) 문서보다 400년쯤 나중에 작성된 제사장(P) 문서가 창세기에서는 앞부분에 위치하게 된 것입니다.

 

P문서의 창조과정이 J문서보다 더 체계적이고 정리정돈이 잘 되어 있는 느낌을 주는 이유는 보다 후대에 편집이 되어 추가되었기 때문입니다.

 

אֵלֶּה תּוֹלְדָוֹת הַשָּׁמַיִם וְהָאָרֶץ בְּהִבֵּרְאָם

엘레 톨르도트 하샤마임 웨하아레츠 베히바르암

 

위 2장 4절의 본문 전반부는 "이것이 천지를 창조했을 때의 이야기이다"라는 뜻으로 P문서에 기록된 첫번째 창조이야기를 종료하고 있습니다.

 

בְּיוֹם עֲשָׂוֹת יְהוָה אֱלֹהִים אֶרֶץ וְשָׁמָיִם:

베욤 아쏘트 야웨 엘로힘 에레츠 웨샤마임

 

반면, 위 2장 4절의 본문 후반부는 "야훼 하느님께서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때에"라고 새로 시작되는 창조 이야기의 첫 운을 뗀 후에, 아담과 하와를 진흙으로 빚어 만드는 두번째의 창조설화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성서 개역한글판과 영어 성서 KJV에서는 2장 4절의 전,후반부를 확실하게 구분하지 않고 합해서 편집했습니다. 반면 최근 성서인 Good News Bible이나 가톨릭용 공동번역 성서는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후반부 시작되는 곳부터 아예 문단을 나눠 소제목으로 "아담과 하와를 지으시다. The Garden of Eden"이라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창세기에 서로 다른 두 가지의 창조 설화가 나란히 실리게 된 것은, 지금의 성서가 오랜 세월 다양한 전승과 사본들이 편집된 결과임을 보여줍니다.

 

그러므로 보수 기독교인들처럼 성서에는 한 글자도 오류가 없다는 성경무오설을 고집하는 것은, 성서의 역사와 그 형성과정에 대한 이해가 결여된 매우 어리석은 행위입니다.

 

성서는 어느날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닙니다. 일반 문학작품과 마찬가지로 성서 역시 사람들에 의해 쓰여지고 편집된 것입니다.

 
 
TOTAL 94
94. [돌아보기 - 11] 창세기 2장 4절, 두 개의 창조이야기
여호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때에 천지의 창조된 대략이 이러하니라 (개역한글판 성경전서, 1979, 대한성서공회)   하늘과 땅을 지어내신 순서는 위와 같았다. 야훼 하느님께서 땅과 하늘을 만드시던 때였다. And that is how the universe was created. When the LORD God made the universe,... (공동번역성서, 가톨릭용, 2002, 대한성…
Name: 김응렬  |  Date: 2025-09-05  |  Hit: 40
93. [동영상 - 1] 인간은 동물로 재생(再生)하지 않는다
(위 링크는 아래 내용과 관련된 유튜브 영상입니다) 인간은 진화를 통해 자연계의 모든 요소를 느낄 수 있는 두뇌구조를 갖추었고,  그로 인해 영혼이 생겨 우주의 전체성을 대표하게 되었습니다.  인간은 육체, 마음체, 영체(영혼)의 삼중 구조를 가지며,  죽으면 육체와 마음체는 해체되고 영혼은 영계에 머뭅니다. …
Name: 김응렬  |  Date: 2025-07-04  |  Hit: 324
92. [책속의 한 줄 - 7] 장일순 평전, 무위당의 아름다운 삶
"아(我)란 너와 내가 따로 없는 그런 나를 말하지요. 석가모니의 '천상천하 유아독존'이란 말씀 있잖아요. 현상뿐만 아니라 모든 것 속에 배태되어 있는 하나의 생명, 그것을 얘기하신 거죠. 해월 선생 말씀도 그거죠. 전 우주에 편재해 있는 생명, 한울님, 그것이 내 안에 있다는 얘기거든요. 그러니까 어디를 향해서 절하느냐 하는 말씀…
Name: 김응렬  |  Date: 2025-06-26  |  Hit: 804
91. [다석 유영모 명상록_1] 出于天來歸終天
“하느님에게서 나왔으니 돌아가 하느님께 마치리"   1931년 로맹 롤랑이 마하트마 간디를 스위스 레만호반에서 만났다.  그 두 사람의 만남은 참으로 역사적인 만남이었다.  수십억을 헤아리는 인류지만 그 때 두 사람만큼 서로 뜻이 통하고  경애하는 진리의 벗은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신문기자들…
Name: 김응렬  |  Date: 2025-03-16  |  Hit: 940
90. [책속의 한 줄 - 6_2] At the Feet of the Master
Between the right and wrong it should not be difficult to choose, for those who wish to follow the Master have already decided to take the right at all costs. But the body and the man are two, and the man's will is not always what the body wishes. When your body wishes something, stop and think whether you really wish it. For you are God, and you will only what God wills; but you must dig deep down into yourself to find the God with…
Name: 김응렬  |  Date: 2025-01-14  |  Hit: 1026
89. [책속의 한 줄 - 6_1] At the Feet of the Master
Karma takes no account of custom; and the karma of cruelty is the most terrible of all.  In India at least there can be no excuse for such customs, for the duty of harmlessness is well-known to all. The fate of the cruel must fall also upon all who go out intentionally to kill God's creatures, and call it "sport".   Such things as these you would not do, I know; and for the sake of the love of God, when opportu…
Name: 김응렬  |  Date: 2025-01-05  |  Hit: 1141
88. [돌아보기 - 10] 四無量心 : 네 가지의 무한한 마음
<카아샤파>야, 자(慈)를 닦으면 탐욕의 마음을 끊고, 비(悲)를 닦으면 성내는 마음을 끊고, 희(喜)를 닦으면 고통을 끊고, 사(捨)를 닦으면 탐욕과 성내는 마음과 차별(差別)을 보는 마음이 없어진다. (p836)   <카아샤파>야, 「보살」은 모든 중생을 위하여 이롭고 즐거움이 되지 않는 일은 없애버리고 만다.&n…
Name: 김응렬  |  Date: 2024-12-25  |  Hit: 1046
87. [옛글 공부 - 11] 중용 : 우리 시대에 더욱 필요한 이유
中者, 不偏不倚 無過不及之名.庸, 平常也.子程子曰,"不偏之謂中, 不易之謂庸.中者, 天下之正道. 庸者, 天下之定理."中이라는 것은 한쪽으로 치우쳐 의지하지 않으므로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는 것이며,庸이라는 것은 상식적이고 변치 않는 것이다.程子선생이 말씀하시기를,"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을 中이라 하고, 변하지 않는 것을…
Name: 김응렬  |  Date: 2024-12-03  |  Hit: 986
86. [다석어록 - 8] 제나는 말, 얼나는 기수
유영모(1890 ~ 1981) 사람이 몸으로는 다른 짐승들과 같은데 그래도 귀한 것이 있으니 하느님의 얼(씨)이 마음속에 깃들어 있음이다. 하느님의 얼은 이 세상에서 그 무엇에도 비할 수 없을 만큼 높다. 사람은 하느님의 얼이 대통령이 되고 제나(自我)의 맘이 수상(총리)이 된 내각이 조각될 때 사람에게 인격(人格)이 나타난다. 인격이…
Name: 김응렬  |  Date: 2024-10-05  |  Hit: 912
85. [多夕語錄 - 7] 얼나
유영모 (1890~1981)   성령의 열매(얼나)란 사람다운 인격을 세우는(character building) 것이다.   인격을 세우는 덕목(德目)이 인의예지(仁義禮智)이다.   인의예지는 사람의 본성인 얼나가 제나(自我)를 다스려 구현된 결과이다. (1957)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부…
Name: 김응렬  |  Date: 2024-05-30  |  Hit: 1440
84. [책속의 한 줄 - 3_4] 요가난다 자서전(기리 발라)
I have never had any children; many years ago I became a widow. I sleep very little, as sleep and waking are the same to me. I meditate at night, attending to my domestic duties in the daytime. I slightly feel the change in climate from season to season. I have never been sick or experienced any disease. I feel only slight pain when accidently injured. I have no bodily excretions. I can control my heartbeat and breathing.   …
Name: 김응렬  |  Date: 2024-02-03  |  Hit: 1506
83. [책속의 한 줄 - 5_3]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3
닐 도널드 월쉬 (1943 ~ )Neale Donald Walsch''나는 모든 것, 모든 것들 안에 존재한다. 전체성이 나의 겉모습이고 온전함이 내 본성이다. 나 아닌 것은 없으며, 나 아닌 그 어떤 것도 존재할 수 없다.축복받은 창조물, 너희 인간들을 창조한 목적은 자기 체험을 창조하는 존재로서의 나 자신을 체험하기 위해서였다."My Beingness is in everything. Everythi…
Name: 김응렬  |  Date: 2023-12-08  |  Hit: 1779
82. [책속의 한 줄 - 5_2]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2
닐 도널드 월쉬 (1943 ~ ) Neale Donald Walsch   너희 인간들은 궁극적 존재의 모든 측면들이며, 그 존재를 이루고 있는 부분들일 뿐이다. 각 부분은 자기들 속에 심어져 있는 전체, 그에 대한 전체의식을 지니고 있다. 모든 요소에 이런 각인이 되어있다.   "자각"이란 이 의식이 깨어나…
Name: 김응렬  |  Date: 2023-09-22  |  Hit: 1867
81. [책속의 한 줄 - 5_1]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1
닐 도널드 월쉬 (1943 ~ ) Neale Donald Walsch   ''이 얘기를 해야겠군. 너희들이 가지는 모든 경험을 나도 가지고 있다. 너희들을 통해서 나 자신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모르겠어? 그게 아니라면 이 모든 일들이 무엇때문에 존재하는 거라고 생각하는데?   I tell you this: every experience you …
Name: 김응렬  |  Date: 2023-07-26  |  Hit: 1560
80. [多夕日誌 공부 - 9] 張橫渠의 西銘
1961. 2. 7. 화. 25899일 지난밤 비   유영모 (1890 ~ 1981)   지쪽 색임 西銘   성큼을 아ㅂㆍ라옵, 몯돌을 어ㅁㆍ라옵 乾稱父 坤稱母   내 예 쬐꼬만 이(커멀ㄴ흐릿)카만데 스니 予玆藐焉 乃混然中處   하늘 따 그득이 내 몸덩이요, 故 天地之塞 吾其體 …
Name: 김응렬  |  Date: 2023-06-05  |  Hit: 1282
79. [多夕語錄 - 6] 모이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유영모 (1890 ~ 1981)   "사람은 좀 친해져야 할 것 같고 많이 모이면 일이 잘 될 것 같고 또 그것이 소위 역량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상은 기대일 뿐 그렇게 쉽게 되는 것이 아니다.   속의 속은 사상이다. 사람은 사상이 같다고 하더라도 이내 숙친해지면 서로 달라진다. 달라지면 이견(異見)이 나온…
Name: 김응렬  |  Date: 2023-05-14  |  Hit: 1105
78. [책속의 한 줄 - 4] 風流道와 한국의 종교사상
유동식(1922 ~ 2022 ) "한국의 종교문화사는 풍류도의 자기 전개사로 이해된다. 불교에서 '한'의 전개를 보았고, 유교에서 '삶'의 전개를 보았다. 이제 기독교는 '한'과 '삶'의 창조적 수렴 속에 '멋'의 문화를 전개해야 할 사명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이것을 다시 복음의 눈으로 본다면, 한국의 종교문화사는 불교…
Name: 김응렬  |  Date: 2023-03-29  |  Hit: 1021
77. [多夕語錄 - 5] 말을 줄입시다
유영모 (1890 ~ 1981)   "말은 어쨌든 적게 해야 한다. 나도 심심해서 심심파적으로 하는 수가 있다. 자기에게나 남에게나 방해가 되지 않게 해야 한다.   말이라도 제가 좋아서 한 것은, 곧 자기 쾌락을 위해서 한 것이라면 음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960)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Name: 김응렬  |  Date: 2023-02-13  |  Hit: 1182
76. [多夕日誌 공부 - 8] 般若波羅蜜多心經
유영모 (1890 ~ 1981)   1962.12.18. 화. 흐림 26578   큰 슬기 제 그ㅓㄴ넴 맘줄 般若波羅蜜多心經   잇다시 보이 보살이 반야바라밀다를 깁히 갓슬 적에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다섯 꾸럼이 다 븸을 비춰 보고 온갖 쓴 걸림을 건넷다.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
Name: 김응렬  |  Date: 2023-01-08  |  Hit: 1050
75. [多夕日誌 공부 - 7] 周濂溪의 太極圖說
1960. 11. 7. 월. 25807일 유영모 (1890 ~ 1981)커극겆 그림 말太極圖說없극겆이오, 커극겆이다.無極而太極  커극겆이 움직여 불숙이 뵈고,太極動而生陽 움직 극겆에 고요, 고요에 움숙 보임.動極而靜 靜而生陰  고요 극겆 다시 움직 !靜極復動한움직 한고요 서로 그 뿌리 됨.一動一靜 互爲其根 &…
Name: 김응렬  |  Date: 2022-12-03  |  Hit: 952
74. [책속의 한 줄 - 3_3] 요가난다 자서전(라히리 마하사야)
라히리 마하사야(1828 ~ 1895) Lahiri Mahasaya"말이란 껍데기에 지나지 않는다. 스스로 명상하는 중에 생기는 희열의 느낌을 통해서 신이 현존하고 있다는 확신을 얻도록 하라."Words are only shells. Win conviction of God's presence through your own joyous contact in meditation."내가 너희들을 인도하고 있는 이 몸 속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더라도, 요가의 열…
Name: 김응렬  |  Date: 2022-11-01  |  Hit: 982
1 2 3 4 5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