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책속의 한 줄 - 3_4] 요가난다 자서전(기리 발라)
[책속의 한 줄 - 5_3]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3
[책속의 한 줄 - 5_2]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2
[책속의 한 줄 - 5_1]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1
[多夕日誌 공부 - 9] 張橫渠의 西銘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6장 「응함」은 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5장 「응함」은 큼으로…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4장 「응함」은 가득함…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3장 「응함」은 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2장 「응함」은 중히 …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jgs.jpg  정길선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명나라의 부패한 환관정치가 불러온 북로의 화(北虜之禍)
  
   작성자 : 배달문화원
작성일 : 2018-01-22     조회 : 318  


명나라의 부패한 환관정치가 불러온 북로의 화(北虜之禍)
1. 환관 왕진의 전횡
왕진은 울주(蔚州) 사람으로 근본이 없는 집안의 천한 건달이었으나 글을 좀 읽어 여러번 과거에 응시했으나 모두 낙방했다. 그러한 현실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현청의 교관(敎官)으로 재직하였는데 이 때부터 부정적인 방식으로 재산을 모았다. 이것이 감사로 인하여 탄로나 벽현(壁縣) 지역으로 귀양을 가게 되었으나 황궁에서 환관을 모집한다는 방을 보고 스스로 거세하여 환관이 되었다.
황궁의 환관들 중에는 글을 읽을 줄 아는 환관이 없어서, 글을 좀 아는 왕진을 환관들은 왕 선생이라고 불렀으며, 후에 선종은 태자 주기진(朱祁鎭)에게 글을 가르치게 하였다. 그러나 태자 주기진은 공부는 하지 않고 노는 것을 좋아하였는데 왕진은 태자의 비위를 맞춰주면서 태자의 신임을 받는데 성공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종(宣宗) 선덕제(宣德帝)가 사망하고 주기진이 9세의 나이로 황제에 등극하니 그가 바로 영종(英宗)이다. 황제의 조모인 태황태후 장씨(太皇太后 張氏)가 섭정을 하고 양사기(楊士奇)를 비롯한 명신들의 섭정으로 인하여 정국이 안정되어갔다. 그러나 섭정을 하던 태황태후 장씨(太皇太后 張氏)가 사망하자 영종은 태자 시절 그의 스승이었던 환관 왕진을 기용하였다. 왕진은 사례감(司禮監)이 되어 상주서 비답을 도맡아서 처리했으며, 어린 영종은 놀기만 좋아하고 국사에는 전혀 관여하지 않았다. 왕진은 영종의 신임을 업고 전횡을 하였는데 영종은 그의 의견에 반대하는 일이 거의 없었다고 한다.
왕진의 전횡은 해가 지날수록 심해져 궁궐 동쪽에 대저택을 지어 위세를 떨치는가 하면 임의로 외국에 군대를 파견하기도 했다. 이리하여 명나라는 환관인 왕진의 의해 완전히 장악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전횡을 자행하는 왕진을 비판하는 관리나 학자는 모두 파직되거나 좌천되었다. 왕진의 권세는 황제를 위압하였으며, 그에게 아첨을 일삼는 일부 왕공 귀족들은 그를 ‘옹부(翁父)’ 라고 부르기까지 했다.
이러한 명나라의 사정으로 볼 때 오이라트는 명나라 내부를 충분히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하였기 때문에 에센이 조공사절단 3,000명을 보낸 것은 명나라 실정에 대한 확실한 판단과 명나라 정부의 대응을 확인하고자 함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왕진이 사절단의 상금을 삭제하고 말 값을 1/5 이상 깎았다는 것은 오히려 에센에게 명나라를 정벌할 명분을 만들어주었다. 그러나 에센은 명나라를 정벌할 확신이 서지 않아 다시 사절을 보내어 자신의 아들을 명나라 공주와 혼인하게 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명나라는 국혼도 거절함으로써 에센은 명나라를 정벌할 수 있는 명분과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1449년 에센은 산서성의 대동(大同)을 공격하면서 명나라와의 전쟁이 개시되었다.

2. 토목보의 변으로 인한 명나라의 치욕
에센은 산서성의 대동을 공격했으나 대동을 지키던 명나라 수비병들이 결사적으로 저항하여 성을 함락시키지 못했다. 이러한 변경의 급보가 전해지자 영종은 에센을 봉쇄하는 작전으로 하여 새(塞) 인근 지역의 방비를 강화하려 하였다. 그러나 왕진의 생각은 영종의 생각과 달랐고 그것에 대한 이유는 왕진의 비리와 연관되어 있었다. 대동은 왕진의 고향인 울주와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해 있었고 울주에는 왕진이 불법으로 토지를 회수한 전답과 부정축제로 모은 상당수 많은 재산들이 포진해 있었다.
자신이 부정축제 한 것을 조정에 탄로 날 염려도 있었을 뿐 아니라 자칫하면 오이라트에게 약탈당할 가능성도 있었기에 왕진은 영종이 친정하여 오이라트를 공격할 것을 주장했다. 그러나 병부상서 광야(鄺埜)와 병부시랑 우겸(于謙)은 아직 오이라트를 공격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고 그나마 군세도 허약하여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하여 친정을 반대했다.
그러나 영종은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왕진이 주장하는 대로 친정 하기로 했다. 영종은 동생인 성왕 주기옥(朱祁鈺)과 우겸에게 명해 북경을 지키게 하고 자신은 왕진과 광야 등 1백여 명의 관리들과 50만 대군을 거느리고 북경에서 출발하여 대동으로 진군했다. 그러나 이 50만 대군에는 정예군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대부분 숫자만 모은 사실상 오합지졸에 가까웠고 군사지휘관은 군에 대해 전혀 모르는 왕진이 총지휘관이었다. 환관 왕진이 총지휘관에 전쟁에 대하여 경험이 있는 장수들은 왕진의 의견과 많은 충돌이 있었고 그것은 명나라 군의 약세로 나타나고 있었다.
대동에 있는 오이라트의 진영을 공격한 선봉부대는 오이라트에게 패배하여 전멸 당하자, 다른 군대들도 흩어져 퇴각했다. 퇴각하는 명나라 군이 토목보(土木堡)에 이르렀을 때 해가 지기 시작하자, 광야(鄺埜)는 날이 더 어두워지기 전에 회래성(懷來城)까지 행군해서 숙영을 하는 것이 좋겠다고 주장했다. 그곳은 높은 성곽이 있어서 오이라트 군이 공격해 와도 충분히 방어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왕진은 자신의 재산을 싣고 따라오는 수천 대의 수레가 걱정되어 토목보에서 숙영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토목보는 이름에 보(堡)라고 칭해져 있으나 실제로는 방어 전책이 전혀 없는 개활지였다. 그리고 하수(河水)가 통하지 않는 곳으로 만약에 오이라트 군이 토목보를 포위한다면 물 부족 현상으로 인하여 명나라 군에게 매우 불리한 지형이었다.
명나라 군이 토목보에서 숙영을 한 지 얼마 안 되어 오이라트 군이 공격해왔다. 그리고 무엇보다 하수(河水)를 통제함으로써 물이 부족함으로 인해 전의를 상실한 명나라 군은 대부분이 도주했고 오이라트 군은 이를 추격하여 대부분의 군사를 참살했다. 왕진은 도주하다가 금군 장수 번충(樊忠)의 철퇴를 맞아 즉사하고 영종은 오이라트 군의 포로가 되었다. 역사상에서는 이 사건을 ‘토목의 변’ 이라고 한다. 토목보 전투에서의 참패로 50만의 명나라 군은 군사의 대부분을 잃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도인 북경성(北京城)마저 오이라트 군의 위협을 받게 되었다.
토목의 변 이후 북경의 명나라 황실은 황급히 영종의 아우인 주기옥을 황제로 올리고 방어책을 세웠다. 그리고 왕진의 전횡과 부정축제에 대한 부분이 문책되어 왕진의 족당들이 모조리 처형되고 재산은 국고로 환수되었다. 이 때 왕진의 집에는 금과 은이 창고 60여 채에 가득 차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재산들은 왕진의 권력을 배경으로 관리들이나 백성들로부터 부정한 방법으로 착취한 것이다.이로써 명나라는 새로운 체제에 돌입했고 오이라트에 대한 비상사태가 선포되기에 이르렀다.

<사진 : 산서성 대동과 내몽골 사이의 토목보로 추정되는 토림(土林), 나는 작년 이 맘때 답사했다. >

19260624_1699475396778187_6154231055277244097_n.jpg

26850759_1699475946778132_445191389281944666_o.jpg

26910488_1699475943444799_7800027808138093243_o.jpg

26910809_1699476030111457_1407147576857247885_o.jpg


 
 
TOTAL 170
44. 티베트 강족 - 마우리 왕조
강족과 티베트 원주민 연합부족은 기원전 187년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브리하드라타(Vlihadrata)가 50만 대군을 거느리고 네팔 팔레우치(palleuch)로 침략해오자 이를 격퇴했고 마우리아 군을 추격하여 아삼(asam)지역까지 정벌하였다. 이 때의 마우리아의 패배는 인도 마우리아 왕조가 패망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마우리아 왕조의 왕 브…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11-14  |  Hit: 329
43. 춘추시대 오(吳), 월(越)이 스스로는 황제 후손을 주장
춘추시대 오(吳), 월(越)이 스스로는 황제 후손을 주장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오나라는 주나라 희성, 월나라는 하나라 사성으로 정의된다고 하였다. 사마천은 <사기-월왕구천세가>에서 월나라 국성은 사(姒)씨로서 하 왕조에서 나왔다고 한다. 실제로 그 기록은 있다. (越王句践, 其先禹之苗裔, 而夏后帝少康之庶子也.) 그리고 &l…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8-01-14  |  Hit: 329
42. 탁발선비의 기원 두번째 이야기와 시조 탁발역미의 등장
후한에서 위나라로 교체되고 오환이 조조에 의해 무너지자 탁발씨는 오환과 그 외의 기타 선비씨족들을 지속적으로 통합했다. 전쟁이 아닌 포용성과 개방성을 지니면서 각 부족을 통합하여 사마씨(司馬氏) 진나라 시기에는 상당한 세력을 갖춘 부족으로 성장했다. 이러한 부족 통합은 역량을 갖춘 부족장이 나타나지 않으면 불가능한…
Name: 정길선  |  Date: 2017-05-12  |  Hit: 328
41. 우문선비의 요동, 요서 지역 정착과 모용선비와의 관계
우문선비는 강력한 세력을 일으키던 부족은 아니었으나 북위가 건국되기 이전에는 주로 요동과 요서지역에서 영위하였으며 주로 목축업을 하였다. 주로 목축업을 하던 지역은 오환의 옛 영토인 적봉과 서랍목륜하 지역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지역은 고구려, 부여와 주로 국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었고 때로는 고구려의 보호를…
Name: 정길선  |  Date: 2017-05-29  |  Hit: 327
40. 걸복선비의 중원 진출
걸복선비는 토욕혼, 농서지역에 정착하면서 세력을 키워갔다. 해당 지역은 원래 흉노의 점령지였고 흉노의 기원지로 추정되는 기련산(祁連山)과 언지산(焉支山)이 근교에 있었던 지역이었다. 그리고 두 산 근처에 독발선비가 자리 잡고 있었다. 걸복선비는 선비의 역사에 단 선비, 모용선비, 탁발선비처럼 큰 족적을 남기지 못했다. 그…
Name: 정길선  |  Date: 2017-05-19  |  Hit: 326
39. 남량(南凉)의 멸망과 독발선비의 후예, 티베트로 이주하여 토번을 …
독발이녹고 사후, 독발녹단이 즉위하여 남량을 통치했다. 아버지는 독발사복건이고 독발오고(禿髮烏孤), 독발이녹고(禿髮利鹿孤)의 동생이다. 남량은 세습 없이 형제상속으로 제위를 이어갔다. 이것은 독발사복건이 독발녹단의 재능을 높이 사서 후계자로 삼고 싶어 하였고, 독발오고와 독발이녹고는 이러한 아버지의 뜻을 따라 형제 …
Name: 정길선  |  Date: 2017-05-20  |  Hit: 326
38. 모용준, 전연의 황제로 즉위하다.
352년 단 선비의 단근(段勤)이 당초 모용준에게 귀부했었다가 그 뒤에 다시 반기를 들었다. 모용준이 모용각(慕容恪)과 상국(相國) 봉혁(封弈)을 보내 안희(安喜)에서 염민(冉閔)을 치고, 모용수(慕容垂)는 역막(繹幕)에서 단근(段勤)을 치고, 모용준은 중산(中山)으로 가서 모용각과 봉혁의 군대를 위하여 미리 주둔하고 만약의 사태에 대…
Name: 정길선  |  Date: 2017-05-23  |  Hit: 326
37. 걸복선비, 서진(西秦)의 멸망과 마무리
걸복치반의 뒤를 이은 걸복모말(乞伏暮末)은 즉위하자마자 북량의 침입을 받았다. 북량은 끊임없이 서진을 공격했으며 그것은 북쪽의 위협인 서진을 정복해야 북위의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계속되는 북량의 침략으로 서진 정권은 영토를 조금씩 잃어갔고 농서 지역과 산서성에 쥐었던 패권마저 약해지기 시작했다. 그…
Name: 정길선  |  Date: 2017-05-19  |  Hit: 323
36. 모용외의 중원 공략과 모용황의 등장
배억(裴嶷)이 건업(建鄴)으로부터 돌아올 때 동진에서 사자를 보내 모용외를 감평주제군사(監平州諸軍事), 안북장군(安北將軍), 평주자사(平州刺史)로 임명하고 식읍을 2천 호(戶) 늘려주었다. 321년에는 동진에서 모용외에 사신을 보내 사지절(使持節), 도독유주동이제군사(都督幽州東夷諸軍事), 거기장군(車騎將軍), 평주목(平州牧…
Name: 정길선  |  Date: 2017-05-20  |  Hit: 320
35. 명나라의 부패한 환관정치가 불러온 북로의 화(北虜之禍)
명나라의 부패한 환관정치가 불러온 북로의 화(北虜之禍) 1. 환관 왕진의 전횡 왕진은 울주(蔚州) 사람으로 근본이 없는 집안의 천한 건달이었으나 글을 좀 읽어 여러번 과거에 응시했으나 모두 낙방했다. 그러한 현실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현청의 교관(敎官)으로 재직하였는데 이 때부터 부정적인 방식으로 재산을 모았다. 이것이 감…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8-01-22  |  Hit: 319
34. 백제 개로왕, 북위 효문제에 표문을 올리고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을…
472년 백제에서 사절들이 북위에 들어와 국교(國交)를 요청하고 다음과 같은 표문을 올렸다. “제가 동쪽 끝에 나라를 세웠으나, 고구려가 길을 막고 있어서, 비록 대대로 대국의 교화를 받았으나 번국 신하의 도리를 다할 수 없었습니다. 멀리 궁궐을 바라보면서 달려가고 싶은 마음은 끝이 없으나, 북쪽의 찬바람으로 말미암아 응할 …
Name: 정길선  |  Date: 2017-05-27  |  Hit: 318
33. 모용인의 반란과 모용황의 토벌
333년 5월에 모용황이 요동공의 지위를 이었고 평북장군(平北將軍) 대행이자 평주자사(平州刺史)가 되어 부(部) 내부를 장악했다. 같은 해 우문걸득귀(宇文乞得龜)가 그의 별부(別部) 일두귀(逸豆歸)에 의해 축출되어 도망치다가 객사했다. 이에 모용황은 일두귀의 행위를 용납하지 못한다고 하여 본격적으로 거병하였다. 모용황이 기병…
Name: 정길선  |  Date: 2017-05-20  |  Hit: 315
32. 모용황과 고구려의 전쟁 - 고구려의 치욕
339년, 모용황이 고구려를 공격하여 신성에 이르렀다. 전연의 군대가 막강하여 고구려의 고국원왕이 화의를 청하자 다시 회군하여 돌아왔다. 340년에는 고국원왕이 태자를 모용황에게 보내 입조하게 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卷第 十八,「고구려국본기(高句麗國本紀)」, 第 六, <故國原王> [본문] 九年, 燕王皝來侵, 兵及新城…
Name: 정길선  |  Date: 2017-05-22  |  Hit: 314
31. 걸복선비, 홀복씨의 기원
걸복씨의 기원은 중국 문헌사료에 의하면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단지 단석괴의 단 선비에 의해 갈려나왔다는 기록이『위략(魏略)』에 존재하고 있으나 이 역시 확실하지 않다.『흉노사』에는 당시 걸복씨가 부여와 인근에 접경하고 있던 씨족이었다는 기록만이 걸복씨에 대한 단 선비 이전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걸복씨는 흉…
Name: 정길선  |  Date: 2017-05-12  |  Hit: 313
30. 북위 태무제의 정복 전쟁
명원제(明元帝)는 남조 송(宋)나라와 자주 전쟁하여 하남성(河南省)을 함락했다. 그리고 강대국인 고구려와 국경을 마주 보게 되자 고구려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양국은 사신이 서로 왕래했고 상인들은 고구려와 북위의 영토에서 주로 교역하여 양국의 문물이 서로의 국가에 전파되었다.* * 명원제 시기에는 사신이 왕래한 …
Name: 정길선  |  Date: 2017-05-26  |  Hit: 313
29. 고구려계 고조의 북위에 대한 철권통치와 그의 죽음과 몰락
선무제는 외가 인척들에게 매우 극진하여 외삼촌인 고조 형제들에게 관직과 작위를 주고 외조부 고양(高陽)과 외조모에게도 작위를 추증하였다. 그리고 501년, 국정을 측근이나 외척인 고조(高肇)에게 맡겼고 선무제는 정치보다는 오히려 향락에 심취하여 지냈다. 게다가 불교에 입도하여 점차적으로 불교신앙에 빠지면서 오히려 정치…
Name: 정길선  |  Date: 2017-05-27  |  Hit: 310
28. 서고트 왕조의 정치, 문화, 사회의 검토
서고트 왕조의 정치, 문화, 사회의 검토 (Visigoths dynasty of politics, culture, society of review) 오늘 탈고한 이 논문은 고트인들의 서방 진출에 더하여 스페인 지역에 정착한 서고트 인들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인 부분을 검토해보았다. 이들은 처음부터 오늘날의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이 된 것은 아니다.  나는 훈족을 연구하기 위해,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11-20  |  Hit: 310
27. 바이칼
바이칼의 맑은 물..  간만이다.. 아직 얼지 않은 설경이라 더 운치있는듯 하다. 바이칼이 얼려면 최소 영하 35도는 가야한다.  러시아에는 바이칼의 맑은 물, 바이칼 생수가 있다. 바이칼은 요양하기도 좋은 곳.. 그저 고향에 온것 같은 뭉클함이 있달까? 멀리 보이는 눈 쌓인 알타이-사얀 산맥.. 알흔 섬 들어갈 때 가장 가까…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09  |  Hit: 310
26. 전연, 부여와의 전쟁과 모용황의 죽음
모용황은 학문적인 부분과 인재 양성을 동시에 진행했는데 이는 초기의 과거제도를 창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모용황은 인재를 양성하는 방식으로 대신(大臣)의 자제(子弟)들 중 관학생(官學生)이 된 자에게 고문생(高門生)이라는 칭호를 하사했다. 그리고 학문의 진흥을 위해 옛 궁에 학교를 세워 활을 쏘고 수련하면서 공부 하는 곳으…
Name: 정길선  |  Date: 2017-05-23  |  Hit: 306
25. 초기 선비의 고고학적 검토
초기 선비는 대흥안령산맥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와 서요하(西遼河)유역, 서쪽으로는 몽골고원의 오논 강에서부터 시라무렌 강까지에 이른다. 대흥안령산맥의 북쪽 지역인 탁발씨의 기원지이고 그보다 남쪽인 선비산은 단 선비의 기원지이다. 그리고 서랍목륜하 지역은 독발씨와 걸복씨의 기원지이고 대흥안령산맥이 끝나는 지점인 서…
Name: 정길선  |  Date: 2017-05-18  |  Hit: 304
24. 비남인, 아미인들에 관한 연구서
비남인, 아미인들에 관한 연구서 태양과 달.. 三神이 하늘을 우러르고 있고 그 사이에 아미족이 태어났다. 그리고 고구려인처럼 조우관을 쓰며 하늘의 자손이라 했다. 그리고 활도 잘 쏘았다.. 이러면 대만 원주민에 대한 종합적이고 세부적인 결ㄴ도ㆍ이 곧 나올것 같다. 참 알찬 답사였다.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8-02-03  |  Hit: 304
1 2 3 4 5 6 7 8 9



- 맨위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