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아카데미_삼일학 연구원
삼일학연구원 최근게시글

춘천 중도 선사유적지
[이덕일 역사TV] 세계적인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3. 단…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2. 고…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지의 역사적 고찰] 1. 춘…
[반크] 레고랜드 플라스틱 장난감에 의해 어이…
정길선의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포르투갈의 고인돌 문화 - 카스트로 문화(Castro c…
알타이의 텡그리를 바라보며...
투르크-타타르의 Умай (우마이) 여신에 대하여
페르가나의 지형
고대 중앙아시아 유목민족들의 개념
유범식의 천지자연의 법 조선철학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우리의 조선…
3. 혁명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2. 뿌리없는 사상적 흐름을 경계하며
제5장 한국 사회운동 단편 - 1. 노동자운동의 기…
존엄어린 죽음 - 인신공양 / 평화의 땅에서 살육…
팔봉산의 하나민족 이야기
한국인의 하나복본 5
한국인의 하나복본 4
한국인의 하나복본 3
한국인의 하나복본 2
한국인의 하나복본 1
한길 백공종사의 배달학당
白空 한길 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3)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2)
한길 백공종사님의 천부경 강의(71)
천부경을 빛깔로...天一一 地一二 人一三 (천일…
천부경을 빛깔로...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화니의 재미있는 桓세상이야기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3] 사람이 바뀌지 않으면…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2] 잘못됨을 알면서도 바…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1] 무엇보다 홍익하는 자…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10] 아무리 지식이 많아도…
[원효대사와 한桓철학 9] 애국애족은 쉽지 않다.…
김응렬의 생각없이 읽는 철학
[책속의 한 줄 - 3_4] 요가난다 자서전(기리 발라)
[책속의 한 줄 - 5_3]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3
[책속의 한 줄 - 5_2]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2
[책속의 한 줄 - 5_1] Conversations with God : book 1
[多夕日誌 공부 - 9] 張橫渠의 西銘
이강산의 통일을 위한 한민족 역사공부방
가섭원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시조 해부루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하 _ 5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3세 …
북부여기 [복애거사 범장 찬] 북부여기상 _ 시조…
단군세기(檀君世紀) 제46세 단군보을 / 제47세 단…
조홍근의 홍익인간 7만년 역사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7대 두밀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6대 추로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홍익인간 7만년 역사] 조선(朝鮮) 제25대 솔나 …
박현우의 가림토한글
한울(○).가를(十)
을미일 왕께서 아뢰시니
고한글 가릶톬
動動歌(동동가)
한 얼을 찾아서. [산해경 해내북경..氷夷(빙이)…
김용성의 태극한글 "신획"
[미치다]의 어원은 [밑+치다]입니다. (2)
마츄픽츄는 원주민 언어로 오래된 이라는 뜻
치우천황은 누구인가? 치우기록들!
시애틀에 대한 어원 고찰
우리말로 읽어야 뜻을 아는 영어
천부경, 삼일신고를 논하다
[참한역사신문] 마고천부경(麻姑天符經) 해독 …
[참한역사신문] 천부경의 내력
[참한역사신문] 묘향산 석벽본 천부경(天符經) …
[참한역사신문] 부도지와 천부…
[조홍근의 천부역사태학원] 하늘, 하늘님이란 - …
치화경治化經 인간366사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6장 「응함」은 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5장 「응함」은 큼으로…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4장 「응함」은 가득함…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3장 「응함」은 맑음으…
인간366사 제8훈 응함 _ 제2장 「응함」은 중히 …
성미경의 삼일사랑방
2022 배달문화원 애국가 - 독립군가
[KBS 다큐] 대장경에 담긴 '천년의 진리' -…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2] 3·1독립선언서(三…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9-01] 대한독립선언서(大…
[배달문화원 개천이야기 9] 대한독립선언서와 3…

jgs.jpg  정길선  북방유라시아 유목사 산책
 
  우문선비의 요동, 요서 지역 정착과 모용선비와의 관계
  
   작성자 : 정길선
작성일 : 2017-05-29     조회 : 326  

우문선비는 강력한 세력을 일으키던 부족은 아니었으나 북위가 건국되기 이전에는 주로 요동과 요서지역에서 영위하였으며 주로 목축업을 하였다. 주로 목축업을 하던 지역은 오환의 옛 영토인 적봉과 서랍목륜하 지역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지역은 고구려, 부여와 주로 국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었고 때로는 고구려의 보호를 받았으며 부여의 보호를 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해당 지역에 단 선비가 내려오자 우문선비와 섞여 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우문선비의 역사는 북주가 건국되기 이전까지는 계속 다른 민족에 복속되었던 전례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독립된 국가를 건국하기에는 북주를 세우기 이전에는 다른 선비계통의 부족들하고 비교할 때 계체수와 부족을 구성하는 씨족들이 매우 작은 민족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제법 넓은 범위로 이동이 가능했고 다른 민족들은 이러한 우문선비에 대해 크게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것은 고구려와 부여조차도 우문선비가 크게 위협적으로 다가오지 않았기 때문에 고구려, 부여에 대한 왕래가 매우 자유로웠고 때로는 부여, 고구려의 영토 깊숙이 들어와서 유목행위를 하기도 하였다.


그렇게 우문선비는 고구려 및 남쪽의 오환(烏丸)과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요동군(遼東郡) 양평현(襄平縣) 출신인 공손도(公孫度)가 후한말 혼란한 틈을 이용하여 요동(遼東) 지역을 장악한다. 233년 막북(漠北)에 자리잡고 있던 가비능(軻比能)은 이미 위나라에 항복해 장성을 지키는 번병 역할을 하고 있던 보도근(步度根)을 회유해 서로 화친을 맺고 병주에 대해 반란을 일으키도록 사주한다. 이 정보를 입수한 병주자사 필궤(畢軌)는 장성을 넘어 군대를 진격시켜 음관(陰館)에 둔영을 설치한다. 가비능(軻比能)은 직접 만 명의 기병을 몰고 형북(陘北)까지 내려와 보도근의 부족과 연합을 꾀한다. 필궤(畢軌)와 가비능(軻比能)은 누번(樓煩)에서 위나라 군대를 격파하자 이에 위나라는 효기장군(驍騎將軍) 진랑(秦朗)을 보내 중군(中軍)을 거느리고 토벌하게 했다. 가비능(軻比能)과 보도근(步度根) 등의 무리는 위나라의 대군과의 정면대결을 피해 막북(漠北)으로 달아났다. 그 후 선비대인(鮮卑大人) 보도근, 설귀니(泄歸泥)등이 가비능과 서로 틈이 벌어져 부락(部落)의 3만여 가(家)를 거느리고 안문군(雁門郡)으로 와서 귀부하였고, 견초는 운중(雲中)의 옛 군(郡)에서 가비능을 쳐서 대파한다.


모용외(慕容廆)의 조부인 목연(木延)은 가비능의 좌현왕(左賢王)이었고, 부친인 섭귀(涉歸)는 공손연(公孫淵) 공격 당시 유성(柳城)을 보전한 공으로 위나라로부터 선비선우(鮮卑單于)로 임명되고 요동(遼東) 북쪽으로 읍락을 옮긴다. 여전히 우문선비는 작은 부족이었지만 우문선비의 영토에 갑자기 모용선비가 침공하여 섞여 살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변화에 우문선비가 모용선비에 대한 강한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급기야 모용선비가 우문선비를 지배하려 하자 강력히 저항했다. 특히 모용선비의 수장인 모용섭귀 하고는 격렬히 저항하여 단 선비와 손잡고 모용선비를 공격했으며 중원 대륙에 진출하려던 모용선비는 우문선비의 저항에 매번 고초를 겪어야 했다.


우문선비와 사이가 좋지 못하였던 섭귀(涉歸)가 죽자 장남인 토곡혼(吐谷渾)은 둘째아들인 모용외(慕容廆)가 선우의 자리를 계승하였기에, 그는 부하들을 거느리고 농서 지역으로 이주하여 지금의 감숙성 대력가산(大力加山)에서 살았다. 그리하여 토곡혼은 이곳을 근거지로 삼고 인접한 저족(氐族)과 강족(羌族)등을 침공하여 서북지역의 강대국이 되었다. 이 때 모용외와 모용황이 우문선비를 공격하자 우문선비는 패배하여 송막(松漠) 사이 땅으로 도망가서 정착하였다.


370년에 전진(秦)의 왕맹(王猛)이 전연을 공격하여 멸망시키자, 이 틈을 노려 우문선비가 남하하여 고구려를 침략하고 남쪽으로 세력을 넓힌다. 탁발십익건(拓跋什翼健)의 손자 탁발규(拓跋珪)는 전진이 비수의 전투에서 대패하여 쇠퇴한 시기를 틈타 서기 386년 대나라 왕을 칭하고 자립하였다.


이후 대나라 영토 동부지역에 우문선비의 일족 중 하나인 지두우(地豆于)*가 서요하 지역으로 이동하여 대나라와 국경을 마주하게 되자 두 나라는 충돌하게 되었다. 그리고 탁발규(拓跋珪)가 서진하고 있는 지두우의 약낙수(弱洛水) 남쪽에서 크게 격파하자 지두우는 서진을 단념하게 되었다.이러한 지두우에게서 거란(契丹)이 독립하여 민족을 형성하게 되었고 북위가 세력을 확대하고 고구려의 광개토태왕이 공격하자 모두 함락되었다.* 그리고 우문선비는 북위로 복속되어 군사적인 부분에서 성장을 거듭했고 장안과 사천성 지역에는 우문태(宇文泰)가 군벌로 성장하여 서위(西魏)의 실권자가 되었다. 이후 우문태의 아들인 우문각(宇文覺)이 서위의 황제인 공제에게 양위 받아 북주(北周)를 건국하게 되었다.


* 『위서(魏書)』卷 百六,「地豆于列傳」, 第 八十八 [본문] 庫莫奚國之先, 東部宇文之別也, 初爲慕容元眞所破, 遺落者竄匿松漠之間. 

 
* 『위서(魏書)』卷 百六,「地豆于列傳」, 第 八十八 [본문] 地豆于國, 在失韋西千餘里, 多牛羊, 出名馬, 皮爲衣服, 無五穀, 惟食肉酪' 延興二年八月, 遣使朝貢, 至於太和六年, 貢使不絕, 十四年, 頻來犯塞, 高祖詔征西大將軍, 陽平王頤擊走之, 自後時朝京師, 迄武定末, 貢使不絕.

    
* 『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碑』, [본문] 其辭曰 永樂五年歲在乙未 王以碑麗不息□ 叉躬率住討 □富山 負山 至鹽水上破其丘部洛 六七百當 牛馬群羊 不可稱數 於是旋駕 因過□平道 東來 □城 力城 北豊五□ 遊觀土境田獵而還.


 * 『삼국사기(三國史記)』, 卷第 十八,「고구려국본기(高句麗國本紀)」, 第 六, <廣開土太王> [본문] 九月, 北伐契丹, 虜男女五百口, 又招諭, 本國陷沒民口一萬而歸.

 

 

18221861_1435820643143665_4531032961240342396_n.jpg

 

우문선비가 영위했던 대흥안령산맥 지역

 

18274880_1435820669810329_6860811111692076520_n.jpg

 

우문선비의 후예 지두우의 위치

 

18275076_1435820699810326_358009913829109300_n.jpg

 

지두우 분할 사건의 지도

 

 
 
TOTAL 170
44. 동진(東晉) 조정, 모용황의 전연을 북방의 패자로 인정하다.
343년 전연은 우문귀(宇文歸)가 국상(國相) 막천혼(莫淺渾)을 보내 모용황을 공격하니 제장들이 맞서 싸울 것을 청했으나 모용황은 허락하지 않았다. 막천혼은 모용황이 자신을 두려워한다고 여겨 전혀 방비하지 않았다. 이 때 모용황은 모용한(慕容翰)과 기병들을 보내 막천혼의 군사들을 치게 하니 막천혼(莫淺渾)이 대패하여 혼자 화…
Name: 정길선  |  Date: 2017-05-22  |  Hit: 328
43. 티베트 강족 - 마우리 왕조
강족과 티베트 원주민 연합부족은 기원전 187년 인도 마우리아 왕조의 브리하드라타(Vlihadrata)가 50만 대군을 거느리고 네팔 팔레우치(palleuch)로 침략해오자 이를 격퇴했고 마우리아 군을 추격하여 아삼(asam)지역까지 정벌하였다. 이 때의 마우리아의 패배는 인도 마우리아 왕조가 패망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마우리아 왕조의 왕 브…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11-14  |  Hit: 328
42. 춘추시대 오(吳), 월(越)이 스스로는 황제 후손을 주장
춘추시대 오(吳), 월(越)이 스스로는 황제 후손을 주장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오나라는 주나라 희성, 월나라는 하나라 사성으로 정의된다고 하였다. 사마천은 <사기-월왕구천세가>에서 월나라 국성은 사(姒)씨로서 하 왕조에서 나왔다고 한다. 실제로 그 기록은 있다. (越王句践, 其先禹之苗裔, 而夏后帝少康之庶子也.) 그리고 &l…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8-01-14  |  Hit: 328
41. 우문선비의 요동, 요서 지역 정착과 모용선비와의 관계
우문선비는 강력한 세력을 일으키던 부족은 아니었으나 북위가 건국되기 이전에는 주로 요동과 요서지역에서 영위하였으며 주로 목축업을 하였다. 주로 목축업을 하던 지역은 오환의 옛 영토인 적봉과 서랍목륜하 지역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지역은 고구려, 부여와 주로 국경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었고 때로는 고구려의 보호를…
Name: 정길선  |  Date: 2017-05-29  |  Hit: 327
40. 걸복선비의 중원 진출
걸복선비는 토욕혼, 농서지역에 정착하면서 세력을 키워갔다. 해당 지역은 원래 흉노의 점령지였고 흉노의 기원지로 추정되는 기련산(祁連山)과 언지산(焉支山)이 근교에 있었던 지역이었다. 그리고 두 산 근처에 독발선비가 자리 잡고 있었다. 걸복선비는 선비의 역사에 단 선비, 모용선비, 탁발선비처럼 큰 족적을 남기지 못했다. 그…
Name: 정길선  |  Date: 2017-05-19  |  Hit: 325
39. 남량(南凉)의 멸망과 독발선비의 후예, 티베트로 이주하여 토번을 …
독발이녹고 사후, 독발녹단이 즉위하여 남량을 통치했다. 아버지는 독발사복건이고 독발오고(禿髮烏孤), 독발이녹고(禿髮利鹿孤)의 동생이다. 남량은 세습 없이 형제상속으로 제위를 이어갔다. 이것은 독발사복건이 독발녹단의 재능을 높이 사서 후계자로 삼고 싶어 하였고, 독발오고와 독발이녹고는 이러한 아버지의 뜻을 따라 형제 …
Name: 정길선  |  Date: 2017-05-20  |  Hit: 325
38. 모용준, 전연의 황제로 즉위하다.
352년 단 선비의 단근(段勤)이 당초 모용준에게 귀부했었다가 그 뒤에 다시 반기를 들었다. 모용준이 모용각(慕容恪)과 상국(相國) 봉혁(封弈)을 보내 안희(安喜)에서 염민(冉閔)을 치고, 모용수(慕容垂)는 역막(繹幕)에서 단근(段勤)을 치고, 모용준은 중산(中山)으로 가서 모용각과 봉혁의 군대를 위하여 미리 주둔하고 만약의 사태에 대…
Name: 정길선  |  Date: 2017-05-23  |  Hit: 325
37. 걸복선비, 서진(西秦)의 멸망과 마무리
걸복치반의 뒤를 이은 걸복모말(乞伏暮末)은 즉위하자마자 북량의 침입을 받았다. 북량은 끊임없이 서진을 공격했으며 그것은 북쪽의 위협인 서진을 정복해야 북위의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계속되는 북량의 침략으로 서진 정권은 영토를 조금씩 잃어갔고 농서 지역과 산서성에 쥐었던 패권마저 약해지기 시작했다. 그…
Name: 정길선  |  Date: 2017-05-19  |  Hit: 322
36. 모용외의 중원 공략과 모용황의 등장
배억(裴嶷)이 건업(建鄴)으로부터 돌아올 때 동진에서 사자를 보내 모용외를 감평주제군사(監平州諸軍事), 안북장군(安北將軍), 평주자사(平州刺史)로 임명하고 식읍을 2천 호(戶) 늘려주었다. 321년에는 동진에서 모용외에 사신을 보내 사지절(使持節), 도독유주동이제군사(都督幽州東夷諸軍事), 거기장군(車騎將軍), 평주목(平州牧…
Name: 정길선  |  Date: 2017-05-20  |  Hit: 320
35. 명나라의 부패한 환관정치가 불러온 북로의 화(北虜之禍)
명나라의 부패한 환관정치가 불러온 북로의 화(北虜之禍) 1. 환관 왕진의 전횡 왕진은 울주(蔚州) 사람으로 근본이 없는 집안의 천한 건달이었으나 글을 좀 읽어 여러번 과거에 응시했으나 모두 낙방했다. 그러한 현실적인 부분으로 인하여 현청의 교관(敎官)으로 재직하였는데 이 때부터 부정적인 방식으로 재산을 모았다. 이것이 감…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8-01-22  |  Hit: 318
34. 백제 개로왕, 북위 효문제에 표문을 올리고 고구려 장수왕의 공격을…
472년 백제에서 사절들이 북위에 들어와 국교(國交)를 요청하고 다음과 같은 표문을 올렸다. “제가 동쪽 끝에 나라를 세웠으나, 고구려가 길을 막고 있어서, 비록 대대로 대국의 교화를 받았으나 번국 신하의 도리를 다할 수 없었습니다. 멀리 궁궐을 바라보면서 달려가고 싶은 마음은 끝이 없으나, 북쪽의 찬바람으로 말미암아 응할 …
Name: 정길선  |  Date: 2017-05-27  |  Hit: 317
33. 모용인의 반란과 모용황의 토벌
333년 5월에 모용황이 요동공의 지위를 이었고 평북장군(平北將軍) 대행이자 평주자사(平州刺史)가 되어 부(部) 내부를 장악했다. 같은 해 우문걸득귀(宇文乞得龜)가 그의 별부(別部) 일두귀(逸豆歸)에 의해 축출되어 도망치다가 객사했다. 이에 모용황은 일두귀의 행위를 용납하지 못한다고 하여 본격적으로 거병하였다. 모용황이 기병…
Name: 정길선  |  Date: 2017-05-20  |  Hit: 314
32. 모용황과 고구려의 전쟁 - 고구려의 치욕
339년, 모용황이 고구려를 공격하여 신성에 이르렀다. 전연의 군대가 막강하여 고구려의 고국원왕이 화의를 청하자 다시 회군하여 돌아왔다. 340년에는 고국원왕이 태자를 모용황에게 보내 입조하게 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 卷第 十八,「고구려국본기(高句麗國本紀)」, 第 六, <故國原王> [본문] 九年, 燕王皝來侵, 兵及新城…
Name: 정길선  |  Date: 2017-05-22  |  Hit: 313
31. 북위 태무제의 정복 전쟁
명원제(明元帝)는 남조 송(宋)나라와 자주 전쟁하여 하남성(河南省)을 함락했다. 그리고 강대국인 고구려와 국경을 마주 보게 되자 고구려와 평화로운 관계를 유지했다. 양국은 사신이 서로 왕래했고 상인들은 고구려와 북위의 영토에서 주로 교역하여 양국의 문물이 서로의 국가에 전파되었다.* * 명원제 시기에는 사신이 왕래한 …
Name: 정길선  |  Date: 2017-05-26  |  Hit: 313
30. 걸복선비, 홀복씨의 기원
걸복씨의 기원은 중국 문헌사료에 의하면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단지 단석괴의 단 선비에 의해 갈려나왔다는 기록이『위략(魏略)』에 존재하고 있으나 이 역시 확실하지 않다.『흉노사』에는 당시 걸복씨가 부여와 인근에 접경하고 있던 씨족이었다는 기록만이 걸복씨에 대한 단 선비 이전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걸복씨는 흉…
Name: 정길선  |  Date: 2017-05-12  |  Hit: 312
29. 고구려계 고조의 북위에 대한 철권통치와 그의 죽음과 몰락
선무제는 외가 인척들에게 매우 극진하여 외삼촌인 고조 형제들에게 관직과 작위를 주고 외조부 고양(高陽)과 외조모에게도 작위를 추증하였다. 그리고 501년, 국정을 측근이나 외척인 고조(高肇)에게 맡겼고 선무제는 정치보다는 오히려 향락에 심취하여 지냈다. 게다가 불교에 입도하여 점차적으로 불교신앙에 빠지면서 오히려 정치…
Name: 정길선  |  Date: 2017-05-27  |  Hit: 310
28. 바이칼
바이칼의 맑은 물..  간만이다.. 아직 얼지 않은 설경이라 더 운치있는듯 하다. 바이칼이 얼려면 최소 영하 35도는 가야한다.  러시아에는 바이칼의 맑은 물, 바이칼 생수가 있다. 바이칼은 요양하기도 좋은 곳.. 그저 고향에 온것 같은 뭉클함이 있달까? 멀리 보이는 눈 쌓인 알타이-사얀 산맥.. 알흔 섬 들어갈 때 가장 가까…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9-12-09  |  Hit: 310
27. 서고트 왕조의 정치, 문화, 사회의 검토
서고트 왕조의 정치, 문화, 사회의 검토 (Visigoths dynasty of politics, culture, society of review) 오늘 탈고한 이 논문은 고트인들의 서방 진출에 더하여 스페인 지역에 정착한 서고트 인들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인 부분을 검토해보았다. 이들은 처음부터 오늘날의 스페인이나 포르투갈이 된 것은 아니다.  나는 훈족을 연구하기 위해, …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7-11-20  |  Hit: 309
26. 전연, 부여와의 전쟁과 모용황의 죽음
모용황은 학문적인 부분과 인재 양성을 동시에 진행했는데 이는 초기의 과거제도를 창안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모용황은 인재를 양성하는 방식으로 대신(大臣)의 자제(子弟)들 중 관학생(官學生)이 된 자에게 고문생(高門生)이라는 칭호를 하사했다. 그리고 학문의 진흥을 위해 옛 궁에 학교를 세워 활을 쏘고 수련하면서 공부 하는 곳으…
Name: 정길선  |  Date: 2017-05-23  |  Hit: 305
25. 비남인, 아미인들에 관한 연구서
비남인, 아미인들에 관한 연구서 태양과 달.. 三神이 하늘을 우러르고 있고 그 사이에 아미족이 태어났다. 그리고 고구려인처럼 조우관을 쓰며 하늘의 자손이라 했다. 그리고 활도 잘 쏘았다.. 이러면 대만 원주민에 대한 종합적이고 세부적인 결ㄴ도ㆍ이 곧 나올것 같다. 참 알찬 답사였다.
Name: 배달문화원  |  Date: 2018-02-03  |  Hit: 304
24. 초기 선비의 고고학적 검토
초기 선비는 대흥안령산맥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와 서요하(西遼河)유역, 서쪽으로는 몽골고원의 오논 강에서부터 시라무렌 강까지에 이른다. 대흥안령산맥의 북쪽 지역인 탁발씨의 기원지이고 그보다 남쪽인 선비산은 단 선비의 기원지이다. 그리고 서랍목륜하 지역은 독발씨와 걸복씨의 기원지이고 대흥안령산맥이 끝나는 지점인 서…
Name: 정길선  |  Date: 2017-05-18  |  Hit: 303
1 2 3 4 5 6 7 8 9



- 맨위로 -